고1 통합사회 총정리 - 2단원
안녕하세요, 마늘입니다.
사회 2단원 요약정리입니다.
감사합니다.
1. 자연환경과 인간의 생활
인간은 자연환경에 맞게 적응해 살아와서, 기후 / 지형별로 생활 양식이 다르다.
기후 - 특정 지형의 날씨 패턴이 종합된 것
1 - 1. 기후 변화에 따른 생활 환경의 차이
세계의 기후 구분은 열대 / 건조 / 온대 / 냉대 / 한대 기후로 나뉜다. (쾨펜)
기온이 높은 열대 지역은 헐렁한 옷을 입고 개방적인 가옥에서 살고 있으며,
오랜 보존을 위한 튀김 / 볶음류 요리와 향신료 사용이 발달해있다. ( 향신료가 부패를 막아준다 )
ex ) 나시고렝, 수상 가옥 등등
반면에 추위가 심한 한대 기후 지역은 곡물이 잘 자라지 않기에 육류를 섭취하고,
난방 중심의 폐쇄적인 가옥과 동물 가죽으로 이루어진 옷을 입는다는 특징이 있다.
ex ) 닥터 지바고, 캐나다의 말린 연어
이러한 냉대 / 온대 기후가 둘 다 나타나는 지역에서는 두 기후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양식이 보인다.
( 냉난방이 동시에 되는 에어컨같이 )
+ 툰드라, 타이가, 스텝
툰드라 - 동토지대(ㄹㅇ 땅이 얼음), 식물 X
타이가 - 냉대기후와 침엽수림을 가지고 있음
스텝 - 풀이 나있는 넓은 평야, 나무가 없음 ( 사막과는 강수량에 따라 나뉘어짐 )
1 - 2. 강수량에 따른 생활 양식의 차이
강수량이 많은 지역은 비가 잘 흐르도록 급경사로 지붕을 짓고,
강수량이 적은 지역은 초원과 사막 - 몽골의 게르 - 이 분포해 가죽과 털을 이용해 집을 짓는다.
사막에서는 오아시스 주변이나 관개 시설을 통해서 밀, 대추야자를 농사짓는다.
지붕이 평평한 흙집을 짓고, ( 비가 오지 않기에 평평해도 상관이 없음 )
강한 햇빛을 막고 수분을 억제하고자 온몸을 감싸는 옷을 입는다.
온대 기후 중에서도 비가 많이 오는 런던같은 곳은 모자를 쓰거나 비옷, 우산을 들고 다니며,
지중해 연안처럼 여름철이 뚜렷하게 건조한 지역은 이를 잘 견디는 올리브, 포도를 재배한다.
눈이 많이 오는 지역은 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피하기 위해 노력하는데
홋카이도의 갓쇼즈쿠리, 맞배지붕이나 캐나다의 지하 도시 등등이 이에 해당한다.
강수량이 많은 타이 - 고경사의 지붕과 땅에서 떨어진 집
싱가포르의 현대식 건물 - 길게 튀어나온 처마, 회랑
이집트의 전통 가옥 - 열 흡수율이 높은 흙, 평평한 지붕
샤르자의 가로수 - 사막임에도 관개 시설을 통해서 식물을 키우고 있음
1 - 3. 지형에 따른 생활 양식의 차이
고산 지대는 지면의 경사가 급하고 고도가 높아 인간이 살기에 힘든 편이다.
하지만 상춘 기후 (우리의 봄과 비슷한 기후)에서 계단식 논을 짓고 살며 옥수수 / 감자를 재배한다.
고산지대에 잘 적응한 가축을 키우면서 먹을거리와 의복 등을 얻는다.
사람이 모이면? 도시가 생긴다!
에콰도르의 키토, 볼리비아의 라파스, 안데스의 보고티 등등...
평야 지역은 산지보다 경지를 개간해서 거대한 밭을 짓는 것이 보통이다
= 아시아의 벼농사, 아메리카의 밀농사
해안 지역은 항구 도시로 발달하거나, 갯벌과 염전, 양식장이 발달하게 된다.
- 무역과 항구 = 경제성장, 조수간만을 통한 양식업, 염전
독특한 자연 경관은 관광 자원으로도 사용된다 - 베트남의 탑 카르스트
2. 자연에 대한 다양한 관점
또 자연에 대한 관점은 동양 서양으로 나뉜다노자 / 장자의 도가 - 자연의 섭리대로, 자연 그대로
아리스토텔레스 - 이성은 '인간' 만이 가지고 있다 = 자연은 도구일 뿐
2 - 1. 인간중심주의
오직 인간만이 이성을 가진 존재이기에, 인간 자체가 모든 것의 목적이므로
인간을 자연보다 우월한 존재라고 여기고, 인간을 위해 자연을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 도구적 자연관 : 인간의 욕구 충족을 위해 자연을 도구로 사용하자
욕구? 매슬로우의 욕구 피라미드!
자연의 의무는 인간이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돕는 것, 인간의 도덕적 선과 도덕적 지위.
인간중심주의는 근대 이후 서양에서 자리매김한 존재며, 이 덕에 인간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 성장을 이루어냈으나
물질적인 욕망만을 쫓아 자원 고갈, 환경 오염, 생태계 파괴를 일으켰다.
이에 따라 최근은 인간중심주의가 비판을 받고 있는 추세.
아는 것이 힘이다. 자연이 인간에게 이롭도록 지식을 활용하고,
방황하는 자연을 사냥해서 노예로 만들어 인간의 이익에 봉사하도록 해야 한다.
- 프랜시스 베이컨
우리는 자연의 주인이자 소유자가 될 수 있다.
인간은 정신을 소유한 존엄한 존재이나, 자연은 의식이 없는 물질일 뿐이다.
- 데카르트
야수를 사냥하는 것이 죄인가?
- 토마스 아퀴나스
2 - 2. 생태중심주의
자연이 인간에게 무엇을 주든, 자연은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
인간은 자연 속의 한 구성원이며, 동식물과 무생물을 포함한 생태계 전체를 존중하자.
-> 인간은 자연과 동등한 존재이다
이는 레오폴드의 '대지의 윤리'에서 잘 드러나는데,
생태계 전체가 하나의 유기체이기에, 뭐 하나라도 잘못 건드리면 생태계 전체가 망함.
고로 생태계의 일원들은 하나되어 균형을 이루며 살아가는 생명 공동체.
의의는 좋으나, 인간의 개입이나 문화적 활동을 허용하지 않아 비현실적이라는 말을 들음.
생태계 전체의 이익을 위한 소수의 희생 (동양 사상과의 차이) 를 강요하는 환경 파시즘적 성향이 있음.
2 - 3.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
유교 : 만물의 본래적 가치, 하늘과 인간의 일치,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다.
불교 : 서로 연결되어있다 - 모든 것에는 원인이 있다. 일즉일체 일체즉일, 현상은 형태가 없다.
도가 : 무위자연, 인간과 자연 그대로의 질서
도가의 자연관 - 자연은 우리의 동료이다. 귀천의 차별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