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네트워크의는 통신 장비 / 통신 선로를 사용하여 두 대 이상의 컴퓨터와 자원을 연결시켜 정보를 교환시킴.
정보 기기 - 전송 / 수신 처리를 하는 단말기
송수신 장치 -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함. LAN / 모뎀 등이 있다
전송 매체 - 데이터의 전송이 이어지는 물리적인 통로 꼬임선 / 동축 케이블 / 광섬유 등등...
스타형 - 허브(HUB)를 중심으로 다른 컴퓨터를 연결, 허브가 고장나면 큰일남
링형 - 일부 회선 고장에 강하나, 컴퓨터의 고장으로 전체 네트워크가 고장난다는 문제가 있음
그물형 - 모든 컴퓨터를 선으로 전체 연결시킴. 회선 문제가 있어도 다른 경로를 통해 우회 가능, 비용 문제
버스형 - 하나의 회선에 여러 대의 컴퓨터, 저렴하지만 장애 발견 / 관리가 힘듬
트리형 - 중앙의 컴퓨터에 나눠지면서 연결. 중앙의 컴퓨터에 장애 발생시 전체에 영향을 줌
프로토콜 - 기기들이 원활히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
7계층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를 'OSI 참조 모델' 이라고 한다.
7계층 (응용 계층) - 사용자가 응용 프로세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층
6계층 (표현 계층) - 입/출력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로 변환하는 계층
5계층 (세션 계층) - 통신 장치 간의 상호작용을 설정하고 유지, 동기화하는 계층
4계층 (전송 계층) - 정보를 전송할 때 제어와 에러를 관리함
3계층 (네트워크 계층) - 정보를 발신지로부터 목적지로 전달하는 책임을 갖는 계층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오류 없이 다른 장치로 정보를 전달하는 계층
1계층 (물리적 계층) - 물리적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계층
이들은 전송 매체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음.
데이터 송수신 - 각 계층에서 데이터를 점점 추가해서 Header 와 Footer( Tail이라고도 함 ) 을 추가해서 전달한다.
송수신의 동작 원리
단방향 통신 - 통신 회선으로 한쪽 방향으로 정보를 전송, 라디오 / TV가 해당
반이중 통신 - 두 장치가 양쪽 방향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지만 송수신은 고정, 휴대용 무전기, 팩스가 해당
전이중 - 완전히 양방향, 전화기, 컴퓨터 통신이 이에 해당함
직렬 -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한 번에 한 비트.
병렬 - 여러 개의 통신 회선을 이용, 동시에 여러 비트를 전송함
동기 -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기화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고속 통신망에 이용됨.
비동기 - 송신측이 데이터를 전송하면 시간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수신함
인터넷 망 - 크고 작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음. 이를 위해서 ISP에 연결해야만 함
TCP / IP는 서로 컴퓨터 간에 접속과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4계층으로 이루어진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
파일이 크면 주소를 하나하나 붙여 패킷에 붙이고 전송,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정렬함
Wi - FI = 정보 기기와 AP( 액세스 포인트 )를 무선 통신해서 하는 작업
IP 주소와 클래스 - 인터넷에 접속된 기기는 고유의 IP 주소에 의해 구분되며, IPv6 / IPv4 가 있다.
IPv4는 4개의 10진수 형태로 구별되며, 숫자와 숫자 사이에 마침표가 있다.
이를 사용하는 기기가 많아지면서, 주소 공간을 확장해 16진수 숫자 8개를 사용하며 콜론(;) 을 사용하는 IPv6이 등장했다.
도메인 - IP 주소는 숫자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이를 문자로 치환해서 쉽게 나타내는 나타내는 것을 도메인 네임이라고 하며,
Domain Name Server에 의해 자동으로 IP를 바꾸어 준다.
국제적 도메인은 .com / .org / .gov / .info 등이 있으며, 국내 도메인은 .co / .or / .go / .pe 가 있다.
월드 와이드 웹 - WWW 는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의 정보를 쉽게 주고받는 서비스
HTTP - 하이퍼 텍스트 트랜스퍼 툴 / 통신용 서버 - 클라이언트 프로토콜
HTML -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 / 웹문서 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
하이퍼텍스트 - 웹 문서 속에 링크를 만들어 이동
하이퍼링크 - 자료에서 자료로 넘어가도록 연결되는 기능
사물인터넷 - 사물 + 인터넷, 사물과 인터넷이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
자율주행차, 가전제품 등등...
클라우드 서비스 - 구름처럼 어디서나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마다 접속해 사용 가능한 서비스
SNS 서비스 - 온라인상에서 자료와 활동, 관심사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의미
티스토리, 다음, 네이버 블로그나 페북, 트위터, 인스타와 같은 것, 또한 디스코드같은 채팅도 SNS에 포함된다.
'공부 > 컴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시 - 대단원 평가 (0) | 2022.06.14 |
---|---|
컴시 - 카르노 맵과 순서 논리 회로 (0) | 2022.06.07 |
컴시 -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 (0) | 2022.05.10 |
컴시 - 중간고사 오답노트 (0) | 2022.05.03 |
컴시 - 대단원 평가 문제 정리 (0) | 2022.04.12 |
- Total
- Today
- Yesterday
- 2D
- 확장자
- 디지털논리회로
- 픽셀
- 입문
- javascript
- 진수
- 화소
- 특성화고
- 8진수
- 사회현상보고서
- 논리
- 특성고
- 컴퓨터시스템
- 고1사회
- 2진수
- 게임개발
- 컴시
- 보수
- js
- Unity
- 16진수
- 자스
- 자바스크립트
- 스크립트
- 유니티
- 존버
- 조립PC
- 진법
- 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