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 1
요약: 뮤지션들은 이제 스스로 자신을 알릴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Today’s music business has allowed musicians to take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Gone are the days of musicians waiting for a gatekeeper (someone who holds power and prevents you from being let in) at a label or TV show to say they are worthy of the spotlight. In today’s music business, you don’t need to ask for permission to build a fanbase and you no longer need to pay thousands of dollars to a company to do it. Every day, musicians are getting their music out to thousands of listeners without any outside help. They simply deliver it to the fans directly, without asking for permission or outside help to receive exposure or connect with thousands of listeners.
오늘날의 음악 사업은 뮤지션들이 스스로 일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었다.
뮤지션들이 음반사나 TV 프로그램의 문지기(권력을 쥐고 사람들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 사람)가
그들이 주목받을 만하다고 말해주기를 기다리던 시대는 지났다.
오늘날의 음악 사업에서는 팬층을 만들기 위해 허락을 요청할 필요가 없으며,
그렇게 하려고 회사에 수천 달러를 지불할 필요도 더 이상 없다 .
매일 뮤지션들은 어떤 외부의 도움도 없이 수천 명의 청취자에게 자신들의 음악을 내놓고 있다.
1 - 2
요약: 바넘 효과는 이야기를 듣고 들어맞는다고 생각하게 되는 효과 (운세처럼)
The Barnum Effect is the phenomenon where someone reads or hears something very general but believes that it applies to them. These statements appear to be very personal on the surface but in fact, they are true for many.
Human psychology allows us to want to believe things that we can identify with on a personal level and even seek information where it doesn't necessarily exist, filling in the blanks with our imagination for the rest.
This is the principle that horoscopes rely on, offering data that appears to be personal but probably makes sense to countless people.Since the people reading them want to believe the information so badly, they will search for meaning in their lives that make it true.
바넘 효과는 누군가가 매우 일반적인 것을 읽거나 듣지만 그것이 자신에게 적용된다고 믿는 현상이다.
이러한 진술들은 표면적으로는 매우 개인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많은 사람에게 적용된다.
인간 심리는 우리가 개인적 차원에서 동일시할 수 있는 것을 믿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우리의 상상으로 공백을 채우면서
그것(정보)이 반드시 존재하지는 않는 경우에도 정보를 심지어 찾고 싶어 하게 한다.
이것은 개인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수많은 사람에게 대개 들어맞는 정보를 제공하는 별자리 운세가 의존하는 원리이다.
그것들을 읽는 사람들이 그 정보를 너무나도 믿고 싶어 하기 때문에,
그들은 그것을 사실로 만드는 삶에서 의미를 찾을 것이다.
1 - 3
요약: 바이럴이 사람들의 경험과 좋아요로 인해 신뢰를 얻는다. - 사회적 증거
An interesting phenomenon that arose from social media is the concept of social proof. It’s easier for a person to accept new values or ideas when they see that others have already done so. If the person they see accepting the new idea happens to be a friend, then social proof has even more power by exerting peer pressure as well as relying on the trust that people put in the judgments of their close friends. For example, a video about some issue may be controversial on its own but more credible if it got thousands of likes. If a friend recommends the video to you, in many cases, the credibility of the idea it presents will rise in direct proportion to the trust you place in the friend recommending the video. This is the power of social media and part of the reason why videos or “posts” can become “viral.”
소셜 미디어에서 생겨난 흥미로운 현상은 사회적 증거 라는 개념이다. 다른 사람들이 이미 그렇게 했다는 것을 알 때 사람은 새로운 가치나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기가 더 쉽다. 만약 그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있다고 보는 그 사람이 우연히 친구라면, 그때 사회적 증거는 사람들이 그들의 친한 친구들의 판단에 두는 신뢰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또래 압력을 행사함으로써 훨씬 더 큰 힘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어떤 문제에 대한 영상은 그 자체로 논란이 될 수 있지만 그것이 수천 개의 좋아요를 얻으면 더 신뢰할 수 있다. 만약에 한 친구가 당신에게 영상을 추천한다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영상이 제시하는 아이디어의 신뢰도는 당신이 영상을 추천하는 친구에게 부여하는 신뢰도와 정비례하여 상승할 것이다. 이것이 소셜미디어의 힘이고 영상이나 “게시물”이 “입소문이 날” 수 있는 이유의 일부다.
1 - 4
요약: 영리한 광고는 아이들로부터 불안감을 증폭시켜 물건을 사게 만든다
Academics, politicians, marketers and others have in the past debated whether or not it is ethically correct to market products and services directly to young consumers. This is also a dilemma for psychologists who have questioned whether they ought to help advertisers manipulate children into purchasing more products they have seen advertised. Advertisers have admitted to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it is easy to make children feel that they are losers if they do not own the ‘right’ products. Clever advertising informs children that they will be viewed by their peers in an unfavorable way if they do not have the products that are advertised, thereby playing on their emotional vulnerabilities. The constant feelings of inadequateness created by advertising have been suggested to contribute to children becoming fixated with instant gratification and beliefs that material possessions are important.
지금까지 대학 교수, 정치인, 마케팅 담당자, 그리고 그 외의 사람들은 제품과 서비스를 어린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촉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은지 그렇지 않은지를 논쟁해 왔다.
이것은 또한, 광고주들이 아이들을 조종해서 광고되는 것을 그들이 본 더 많은 제품을 구매하게 하는 것을 도와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심리학자들에게도 딜레마이다.
광고주들은 아이들이 그 ‘적절한’ 제품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면 자신이 패배자라고 느끼게 만드는 것이 쉽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을 인정했다.
영리한 광고는 아이들에게 만약 그들이 광고되는 제품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자신의 또래 친구들에게 부정적으로 보일 것이라고 알려 주고, 그로 인해 아이들의 정서적인 취약성을 이용한다.
광고가 만들어 내는, 끊임없이 부적절하다고 느끼는 감정은, 아이들이 즉각적인 만족감과 물질적 소유물이 중요하다는 믿음에 집착하게 되는 데 기여한다고 언급되어 왔다.
2 - 1
요약: 인간과 인간의 기술 차이가 심하기에 미지의 땅으로 갈 때는 철저히 적응을 위해 조사하라
The continued survival of the human race can be explained by our ability to adapt to our environment. While we may have lost some of our ancient ancestors’ survival skills, we have learned new skills as they have become necessary.
Today, the gap between the skills we once had and the skills we now have grows ever wider as we rely more heavily on modern technology. Therefore, when you head off into the wilderness, it is important to fully prepare for the environment. Before a trip, research how the native inhabitants dress, work, and eat. How they have adapted to their way of life will help you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and allow you to select the best gear and learn the correct skills.
This is crucial because most survival situations arise as a result of a series of events that could have been avoided.
인류의 지속적인 생존은 환경에 적응하는 우리의 능력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고대 조상들의 생존 기술 중 일부를 잃어버렸을지도 모르지만, 새로운 기술이 필요해지면서 우리는 새로운 기술을 배웠다. 오늘날 우리가 현대 기술에 더 크게 의존함에 따라 한때 우리가 가졌던 기술과 현재 우리가 가진 기술 사이의 간극이 어느 때보다 더 커졌다. 그러므로, 미지의 땅으로 향할 때에는, 그 환경에 대해 충분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곳으로 떠나기 전에, 토착 주민들이 어떻게
옷을 입고 일하고 먹는지를 조사하라. 그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생활 방식에 적응했는가는 여러분이 그 환경을 이해하도록 도울 것이고, 여러분이 최선의 장비를 선별하고 적절한 기술을 배우도록 해 줄 것이다. 대부분의 생존(이 걸린) 상황이 피할 수도 있었던 일련의 사건의 결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은 중요하다.
2 - 2
요약: 농업이 자급자족에서 환금용이 되면서 종류는 적으나 필요한 작물의 양은 많이 재배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Earlier agricultural systems were integrated with and co-evolved with technologies, beliefs, myths and traditions as part of an integrated social system. Generally, people planted a variety of crops in different areas, in the hope of obtaining a reasonably stable food supply. These systems could only be maintained at low population levels, and were relatively non-destructive (but not always). More recently, agriculture has in many places lost its local character, and has become incorporated into the global economy. This has led to increased pressure on agricultural land for exchange commodities and export goods. More land is being diverted from local food production to “cash crops” for export and exchange; fewer types of crops are raised, and each crop is raised in much greater quantities than before. Thus, ever more land is converted from forest (and other natural systems) for agriculture for export, rather than using land for subsistence crops.
* subsistence crop: 자급자족용 작물
초기의 농업 시스템은 통합된 사회 시스템의 일부로서 기술, 신념, 신화 그리고 전통과 통합되고 함께 발전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상당히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얻기를 기대하며 여러 지역에 다양한 작물을 심었다. 이 시스템은 낮은 인구 수준에서만 유지될 수 있었고, 비교적 파괴적이지 않았다(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더 최근에는 농업이 많은 곳에서 그 지역적 특성을 잃고 세계 경제에 통합되어 왔다. 이로 인해 교환 상품과 수출 상품을 위한 농경지에 대한 압력이 증가하게 되었다. 더 많은 땅이 수출과 교환을 위해 지역 식량 생산에서 ‘환금 작물’로 전환되고 있는데, 더 적은 종류의 작물이 재배되고, 각 작물은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양으로 재배된다. 따라서 자급자족용 작물을 위해 땅을 사용하기 보다는, 수출을 위한 농업을 위해 어느 때보다 더 많은 토지가 산림(그리고 다른 자연 시스템)으로부터 전환된다.
2 - 3
요약: 지금의 성 역할과 경계는 이전 세대만큼 엄격하지 않다
Gender research shows a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conflict styles.
Some research suggests that women from Western cultures tend to be more caring than men.
This tendency may result from socialization processes in which women are encouraged to care for their families and men are encouraged to be successful in competitive work environments.
However, we live in a society where gender roles and boundaries are not as strict as in prior generations.
There is significant variability in assertiveness and cooperation among women, as well as among men.
Although conflict resolution experts should be able to recognize cultural and gender differences, they should also be aware of withingroup variations and the risks of stereotyping.
Culture and gender may affect the way people perceive, interpret, and respond to conflict; however, we must be careful to avoid overgeneralizations and to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성별에 관한 연구는 성별과 갈등 유형 사이 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준다.
몇몇 연구는 서양 문화권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주변을 돌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경향은 여성은 가족을 돌보도록 권장 받고, 남성은 경쟁적인 직업 환경에서 성공하도록 권장 받는 사회화 과정의 결 과물일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성 역할과 경계가 이전 세대만큼 엄격하지 않은 사회에 살고 있다.
남성들 뿐만 아니라 여성들 사이에서도 단호함과 협조성에는 상당한 정도의 차이가 있다.
갈등 해결 전문가는 문화적 차이와 성별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하지만,
그들은 또한 그룹 내의 차이와 고정관념을 갖는 것의 위험성도 알고 있어야 한다.
문화와 성별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해석하고, 갈등에 반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수도 있지만,
우리는 과잉일반화를 피하고, 개인적인 차이를 고려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2 - 4
요약: 올즈모빌의 아버지 랜섬 올즈와 헨리 포드, 컨베이어 벨트, 좋은 진보는 종종 위대한 진보의 선구자라는 것이다.
Ransom Olds, the father of the Oldsmobile, could not produce his “horseless carriages” fast enough.
In 1901 he had an idea to speed up the manufacturing process — instead of building one car at a time, he created the assembly line.
The acceleration in production was unheard‑of — from an output of 425 automobiles in 1901 to an impressive 2,500 cars the following year. While other competitors were in awe of this incredible volume, Henry Ford dared to ask, “Can we do even better?”
He was, in fact, able to improve upon Olds’s clever idea by introducing conveyor belts to the assembly line.
As a result, Ford’s production went through the roof.
Instead of taking a day and a half to manufacture a Model T, as in the past, he was now able to spit them out at a rate of one car every ninety minutes.
The moral of the story is that good progress is often the herald of great progress.
Oldsmobile의 창립자인, Ransom Olds는 “말 없는 마차”를 충분히 빨리 생산할 수 없었다.
1901년에, 그는 생산 과정의 속도를 높이는 아이디어를 가졌다 ― 한 번에 한 대의 자동차를 만드는 대신에,
조립 라인을 고안했다. 생산의 가속은 전례가 없는 것이었다 ― 1901년 425대의 자동차 생산량에서 이듬해
인상적인 2,500대의 자동차로. 다른 경쟁사들이 이 놀라운 분량에 깊은 감명을 받는 동안, Henry Ford는 감히
“우리가 더 잘할 수 있을까?”라고 물었다. 그는, 사실, 컨베이어 벨트를 조립 라인에 도입함으로써 Olds의 훌륭한
아이디어를 개선할 수 있었다. 그 결과, Ford사의 생산은 최고조에 달했다. 과거처럼, Model T를 제작하는 데
1.5일이 걸리는 대신에, 그는 90분마다 한 대씩의 속도로 차를 뱉어낼 수 있게 됐다.
이 이야기의 교훈은 좋은 진보는 종종 위대한 진보의 선구자라는 것이다.
3 - 1
요약: 화학식은 복잡한 화학 방정식을 축약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If you had to write a math equation, you probably wouldn’t write, “Twenty-eight plus fourteen equals forty-two.”
It would take too long to write and it would be hard to read quickly. You would write, “28 + 14 = 42.”
Chemistry is the same way. Chemists have to write chemical equations all the time, and it would take too long to write and read if they had to spell everything out.
So chemists use symbols, just like we do in math.
A chemical formula lists all the elements that form each molecule and uses a small number to the bottom right of an element’s symbol to stand for the number of atoms of that element. For example, the chemical formula for water is H2O.
That tells us that a water molecule is made up of two hydrogen (“H” and “2”) atoms and one oxygen (“O”) atom.
만일 여러분이 수학 등식을 써야 한다면, 여러분은 아마 ‘스물 여덟 더하기 열 넷은 마흔 둘과 같다.’라고 쓰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쓰는 데 너무 오래 걸리고 빨리 읽기가 어려울 것이기에, 여러분은 ‘28+14=42’라고 쓸 것이다.
화학도 마찬가지이다. 화학자들은 항상 화학 방정식을 써야 하고, 만약 그들이 모든 것을 상세히 다 써야 한다면
쓰고 읽는 데 너무 오래 걸릴 것이다. 그래서 화학자들은 우리가 수학에서 하는 것처럼 기호를 사용한다.
화학식은 각 분자를 구성하는 모든 원소를 나열하고 그 원소의 원자 수를 나타내기 위해 원소 기호의 오른쪽 아래에
작은 숫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물의 화학식은 H2O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하나의 물 분자는 두 개의 수소 원자(‘H’와 ‘2’)와 하나의 산소 원자(‘O’)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3 - 2
요약: 공통점이 있어 보이는 변수여도 다른 요인에 의해 관련된 것 처럼 보일 수 있다.
Even though two variables seem to be related, there may not be a causal relationship.
In fact, the two variables may merely seem to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effect of some third variable.
Sociologists call such misleading relationships spurious.
A classic example is the apparent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shoe size and reading ability.
It seems that as shoe size increases, reading ability improves. Does this mean that the size of one’s feet
(independent variable) causes an improvement in reading skills (dependent variable)?
Certainly not.
This false relationship is caused by a third factor, age, that is related to shoe size as well as reading ability.
Hence, when researchers attempt to make causal claim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ependent and a dependent variable, they must control for ― or rule out ― other variables that may be creating a spurious relationship.
비록 두 변수가 관련된 것처럼 보일지라도 인과 관계가 없을 수도 있다.
사실, 그 두 변수는 어떤 제3 변수의 영향으로 단지 서로 관련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사회학자들은 이러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관계를 허위라고 부른다.
전형적인 예는 아이들의 신발 크기와 읽기 능력 사이의 명백한 연관성이다.
→신발 크기가 커질수록, 읽기 능력이 향상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이 발 크기(독립 변수)가 읽기 능력(종속 변수)의 향상을 유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물론 아니다. 이러한 허위 관계는 읽기 능력은 물론 신발 크기 와도 관련이 있는 제3변수인 연령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이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과 관계를 주장하려고 할 때 그들은 허위 관계를 만들어 낼 수도 있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 하거나 배제해야만 한다.
3 - 3
요약: 선입견에 의한 지레짐작과 잘못된 가정의 수정은 인류를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We make decisions based on what we think we know.
It wasn't too long ago that the majority of people believed the world was flat.
This perceived truth impacted behavior.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very little exploration.
People feared that if they traveled too far they might fall off the edge of the earth.
So for the most part they didn't dare to travel.
It wasn't until that minor detail was revealed ─ the world is round ─ that behaviors changed on a massive scale.
Upon this discovery, societies began to travel across the planet. Trade routes were established;
spices were traded. New ideas, like mathematics, were shared between societies which allowed for all kinds of innovations and advancements. The correction of a simple false assumption moved the human race forward.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근거하여 결정을 내린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세상이 평평하다고 믿었던 것은 그리 오래 전 일이 아니다.
우리가 믿던 이 거짓 진실은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 기간 동안 탐험은 거의 없었다.
사람들은 너무 멀리 여행하면 지구의 가장자리에서 떨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그들은 감히 여행을 할 수 없었다.
지구는 둥글다는 그 사소한 행동이 밝혀진 것은 엄청난 변화를 일으켰다.
이 발견에 따라, 사회는 지구를 가로질러 여행하기 시작했다. 무역로가 개설되었다. 향신료가 거래되었다.
수학과 같은 새로운 아이디어는 모든 종류의 혁신과 진보를 허용하는 사회간에 공유되었습니다.
단순한 잘못된 가정의 수정은 인류를 앞으로 나아갔다.
3 - 4
요약: 질문의 프레임은 답변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예시로 나온 빈곤층 지원과 복지처럼 결과를 유도해낼 수 있다.
In one survey, 61% of Americans said that they supported the government spending more on ‘assistance to the poor’.
But when the same population was asked whether they supported spending more government money on ‘welfare’,
only 21 percent were in favour. In other words, if you ask people about individual welfare programmes — such as giving financial help to people who have long-term illnesses and paying for school meals for families with low income — people are broadly in favour of them. But if you ask about ‘welfare’ — which refers to those exact same programmes that you’ve just listed — they’re against it. The word ‘welfare’ has negative connotations, perhaps because of the way many politicians and newspapers portray it. Therefore, the framing of a question can heavily influence the answer in many ways, which matters if your aim is to obtain a ‘true measure’ of what people think. And next time you hear a politician say ‘surveys prove that the majority of the people agree with me’, be very wary.
한 조사에서, 61%의 미국인들이 ‘빈곤층 지원’에 더 많은 돈을 쓰는 정부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모집단이 ‘복지’에 더 많은 정부 예산을 쓰는 것을 지지하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단지 21%만이 찬성했다. 다시 말해, 만약 당신이 개별 복지 프로그램들에 대해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 장기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재정적 도움을 주고 저소득 가정의 급식비를 대주는 것과 같은 ― 사람들은 대체로 그것들에 찬성한다. 그러나 만약 당신이 ‘복지’에 관해 질문한다면―방금 열거한 것과 정확히 동일한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 그들은 그것에 반대한다. ‘복지’라는 단어는 많은 정치인들과 신문들이 그것을 묘사하는 방식 때문인지, 부정적인 함축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질문의 프레이밍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답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당신의 목표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에 대한 ‘진정한 척도’를 얻는 것이라면 중요하다. 그리고 다음번에 당신이 한 정치인이 ‘설문조사는 대다수의 국민들이 나에게 동의한다는 것을 입증한다’고 말하는 것을 듣게 될 때, 매우 조심하라.
In one study, researchers asked pairs of strangers to sit down in a room and chat. In half of the rooms,
a cell phone was placed on a nearby table; in the other half, no phone was present. After the conversations had ended, the researchers asked the participants what they thought of each other. Here’s what they learned:
when a cell phone was present in the room,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quality of their relationship was worse than those who’d talked in a cell phonefree room. The pairs who talked in the rooms with cell phones thought their partners showed less empathy. Think of all the times you’ve sat down to have lunch with a friend and set your phone on the table. You might have felt good about yourself because you didn’t pick it up to check your messages,
but your unchecked messages were still hurting your connection with the person sitting across from you.
The presence of a cell phone weakens the connection between people involved in conversations, even when the phone is being ignored.
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서로 모르는 사람들끼리 짝을 이루어 한 방에 앉아서 이야기하도록 했다.
절반의 방에는 근처 탁자 위에 휴대폰이 놓여 있었고, 나머지 절반에는 휴대폰이 없었다.
대화가 끝난 후,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에게 서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여기에 그들이 알게 된 것이 있다.
휴대폰이 없는 방에서 대화했던 참가자들에 비해 방에 휴대폰이 있을 때 참가자들은 자신들의 관계의 질이 더 나빴다고
말했다. 휴대폰이 있는 방에서 대화한 짝들은 자신의 상대가 공감을 덜 보여 주었다고 생각했다.
친구와 점심을 먹기 위해 자리에 앉아 탁자 위에 휴대폰을 놓았던 모든 순간을 떠올려 보라.
메시지를 확인하려고 휴대폰을 집어 들지 않았으므로 잘했다고 느꼈을지 모르지만,
확인하지 않은 여러분의 메시지는 여전히 맞은편에 앉아 있는 사람과의 관계를 상하게 하고 있었다.
→ 휴대폰의 존재는 심지어 휴대폰이 무시되고 있을 때조차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약화시킨다.
4 - 2
요약: 나랑 비슷한 쪽에 끌리는 것은 진화론적 선호에 대한 증거이다.
In their study in 2007 Katherine Kinzler and her colleagues at Harvard showed that our tendency to identify with an
in-group to a large degree begins in infancy and may be innate. Kinzler and her team took a bunch of five-month-olds whose families only spoke English and showed the babies two videos. In one video, a woman was speaking English.
In the other, a woman was speaking Spanish. Then they were shown a screen with both women side by side,
not speaking. In infant psychology research, the standard measure for affinity or interest is attention ― babies will apparently stare longer at the things they like more. In Kinzler's study, the babies stared at the English speakers longer. In other studies, researchers have found that infants are more likely to take a toy offered by someone who speaks the same language as them. Psychologists routinely cite these and other experiments as evidence of our built-in evolutionary preference for “our own kind.”
* affinity: 애착
Infants' more favorable responses to those who use a familar language show that there can be an inborn tendency to prefer in-group members.
2007년에 있었던 연구에서 Katherine Kinzler와 그녀의 하버드 동료들은 내(內)집단과 동일시하려는 우리의 경향이 상당 부분 유아기에 시작되고 선천적일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inzler와 그녀의 팀은 가족들이 영어만을 말하는 한 무리의 5개월 된 아이들을 골라 두 개의 영상을 보여 주었다. 한 영상에서 한 여성이 영어를 말하고 있었다. 다른 영상에서는 한 여성이 스페인어를 말하고 있었다. 그러고나서 그들에게 두 여성 모두 말없이 나란히 있는 화면을 보여 주었다. 유아 심리학 연구에서 애착이나 관심의 표준 척도는 주목인데, 아기들은 분명 그들이 더 좋아하는 것을 더 오래 쳐다볼 것이다. Kinzler의 연구에서 아기들은 영어 사용자들을 더 오래 쳐다보았다. 다른 연구들에서 연구자들은 유아들이 자신들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제공하는 장난감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발견했다. 심리학자들은 ‘우리와 같은 종류’에 대한 우리의 내재된 진화론적인 선호에 대한 증거로 이것들과 다른 실험들을 반복해서 인용한다.
-> 친숙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유아들이 더 호의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선천적으로 그룹 내 구성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 3
요약: 음악이 감정을 표현한다는 것은 학습에 의해서거나, 인간의 행동과 유사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One way that music could express emotion is simply through a learned association.
Perhaps there is nothing naturally sad about a piece of music in a minor key, or played slowly with low notes.
Maybe we have just come to hear certain kinds of music as sad because we have learned to associate them in our culture with sad events like funerals.
If this view is correct, we should have difficulty interpreting the emotions expressed in culturally unfamiliar music.
Totally opposed to this view is the position that the link between music and emotion is one of resemblance.
For example, when we feel sad we move slowly and speak slowly and in a lowpitched voice.
Thus when we hear slow, low music, we hear it as sad.
If this view is correct, we should have littl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emotion expressed in culturally unfamiliar music.
It is believed that emotion expressed in music can be understood through a culturally learned association or it can be understood due to the similarity between music and emotion.
음악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한 방법은 단지 학습된 연관을 통해서이다.
단조나 낮은 음으로 느리게 연주된 악곡에 대해 본질적으로 슬픈 무언가가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우리는 어떤 종류의 음악을 슬프다고 듣게 되는데 우리가 우리의 문화 속에서 그것들을 장례식과 같은 슬픈 일과
연관시키는 것을 학습해왔기 때문일것이다.
만약 이 관점이 옳다면, 우리는 문화적으로 친숙하지 않은 음악에 표현된 감정을 이해하는데 분명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이 관점과 완전히 반대되는 입장은 음악과 감정 사이의 연결고리는 유사함 이라는 것이다.
예컨대, 슬프다고 느낄 때 우리는 느리게 움직이고 낮은 음의 목소리로 느리게 말한다.
따라서 우리가 느리고 낮은 음의 음악을 들을 때, 우리는 그것을 슬프게 듣는다.
만약 이 관점이 옳다면, 우리는 문화적으로 친숙하지 않은 음악에 표현된 감정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거의 없을 것이다.
-> 음악에 표현된 감정은 문화적으로 학습된 연관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다고 믿어지거나, 혹은 음악과 감정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이해될수 있다고 믿어진다.
Anne Thorndike, a primary care physician in Boston, had a crazy idea. She believed she could improve the eating habits of thousands of hospital staff and visitors without changing their willpower or motivation in the slightest way. In fact, she didn’t plan on talking to them at all. Thorndike designed a study to alter the “choice architecture” of the hospital cafeteria. She started by changing how drinks were arranged in the room. Originally, the refrigerators located next to the cash registers in the cafeteria were filled with only soda. She added water as an option to each one. Additionally, she placed baskets of bottled water next to the food stations throughout the room. Soda was still in the primary refrigerators, but water was now available at all drink locations. Over the next three months, the number of soda sales at the hospital dropped by 11.4 percent. Meanwhile, sales of bottled water increased by 25.8 percent.
-> The study performed by Thorndike showed that the placement of drinks at the hospital cafeteria influenced
the choices people made, which lowered the consumption of soda.
Boston의 1차 진료 의사인, Anne Thorndike는 아주 좋은 생각을 했다. 그녀는 의지력이나 동기를 바꾸지 않고 가벼운 방식으로 수천 명의 병원 직원들과 방문객들의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었다. 사실, 그녀는 그들과 대화할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 Thorndike는 연구를 설계했다, 병원 구내식당의 “선택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 그녀는 공간 안에 음료가 놓여 있는 방식을 바꾸는 것으로 시작했다. 원래, 구내식당 내의 금전등록기 옆에 있는 냉장고들은 탄산음료로만 채워져 있었다. 그녀는 각각의 냉장고에 선택 사항으로 물을 추가했다. 게다가, 그녀는 공간 전체에 있는 음식을 두는 장소 옆에 병에 든 물이 담긴 바구니들을 놓았다. 탄산음료는 여전히 본래의 냉장고에 있었지만, 물은 이제 음료를 둔 모든 곳에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 3개월 동안, 병원의 탄산음료 판매 숫자는 11.4퍼센트만큼 떨어졌다. 반면에, 병에 든 물의 판매는 25.8퍼센트만큼 증가했다.
-> Thorndike에 의해 수행된 연구는 병원 구내식당에 음료를 배치하는 것이 사람들이 하는 선택에 영향을 주어, 탄산음료의 소비를 낮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5 - 1
요약: 어려운 악기를 잘 다루고 연주할수록 알맞은 연주 기술을 알게 되는 것은 점점 더 유의미해진다.
Although there is usually a correct way of hold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the most important instruction to begin with is that they are not toys and that they must be looked after. Allow children time to explore ways of handling and playing the instruments for themselves before showing them. Finding different ways to produce sounds is an important stage of musical exploration. Correct playing comes from the desire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sound quality and find the most comfortable playing position so that one can play with control over time. As instruments and music become more complex, learning appropriate playing techniques becomes increasingly relevant.
비록 보통 악기를 잡고 연주하는 올바른 방법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지시는 그것들이 장난감이 아니며 그것들을 돌봐야 한다는 것이다.
어린이들이 악기를 직접 다루고 연주하는 방법을 탐색한 후 보여줍니다.
소리를 내는 다른 방법을 찾는 것은 음악적 탐구의 중요한 단계이다.
올바른 연주는 가장 적절한 음질을 찾고 가장 편안한 연주 자세를 찾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어력을 가지고 연주할 수
있도록 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된다. 악기와 음악이 점점 더 복잡해짐에 따라,
적절한 연주 기술을 배우는 것은 점점 더 중요해진다.
5 - 2
요약: 냄새의 범주와 유전자의 차이는 종에 따라 그것에 반응하게 한다.
Each species of animals can detect a different range of odours. No species can detect all the molecules that are present i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lives ― there are some things that we cannot smell but which some other animals can, and vice versa.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relating to the ability to smell an odour, or how pleasant it seems. For example, some people like the taste of coriander ― known as cilantro in the USA ― while others find it soapy and unpleasant. This effect has an underlying genetic component due to differences in the genes controlling our sense of smell. Ultimately, the selection of scents detected by a given species, and how that odour is perceived, will depend upon the animal’s ecology. The response profile of each species will enable it to locate sources of smell that are relevant to it and to respond accordingly.
각 종의 동물들은 다른 범위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
어떤 종도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분자를 감지할 수 없다.
우리는 냄새를 맡을 수 없지만 다른 동물들은 냄새를 맡을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능력이나 그것이 얼마나 즐겁게 보이는지와 관련하여 개인 간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일부는 고수 - 미국에서 고수풀로 알려진 - 의 맛을 좋아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비눗물과 불쾌감을 느낍니다.
이 효과는 우리의 후각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차이로 인해 근본적인 유전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궁극적으로, 주어진 종에 의해 감지 된 향기의 선택과 그 냄새가 어떻게 감지되는지는 동물의 생태에 달려 있습니다.
각 종의 반응 프로파일은 그것과 관련된 냄새의 근원을 찾고 그에 따라 반응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5 - 3
요약: 시각 정보가 미각 정보보다 우선적으로 판단에 영향을 끼친다.
Although it is obvious that part of our assessment of food is its visual appearance, it is perhaps surprising how visual input can override taste and smell. People find it very difficult to correctly identify fruit-flavoured drinks if the colour is wrong, for instance an orange drink that is coloured green. Perhaps even more striking is the experience of wine tasters. One study of Bordeaux University students of wine and wine making revealed that they chose tasting notes appropriate for red wines, such as ‘prune and chocolate’, when they were given white wine coloured with a red dye. Experienced New Zealand wine experts were similarly tricked into thinking that the white wine Chardonnay was in fact a red wine, when it had been coloured with a red dye.
비록 음식에 대한 우리 평가의 일부가 음식의 시각적 외관인 것은 분명하지만, 어떻게 시각적인 입력 정보가 맛과 냄새에 우선할 수 있는가는 놀라울 것이다. 만약 예를 들어 초록색 빛깔의 오렌지 음료와 같이 색깔이 잘못되어 있다면, 사람들은 과일 맛이 나는 음료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 포도주 맛을 감정하는 사람들의 경험은 훨씬 더 놀라울 것이다. 포도주와 포도주 제조에 관해 공부하는 Bordeaux University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그들이 붉은색 색소로 물들인 백포도주를 받았을 때, ‘자두와 초콜릿’과 같은 적포도주에 적합한 시음표를 선택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숙련된 뉴질랜드 포도주 전문가들도 마찬가지로 백포도주 Chardonnay를 붉은색 색소로 물들였을 때, 속아서 그것이 실제로 적포도주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5 - 4
요약:
While working as a research fellow at Harvard, B. F. Skinner carried out a series of experiments on rats,
using an invention that later became known as a “Skinner box.”
A rat was placed in one of these boxes, which had a special bar fitted on the inside. Every time the rat pressed this bar,
it was presented with food. The rate of bar‑pressing was automatically recorded.
Initially, the rat might press the bar accidentally, or simply out of curiosity, and as a consequence receive some food.
Over time, the rat learned that food appeared whenever the bar was pressed, and began to press it purposefully in order to be fed.
Comparing results from rats given the “positive reinforcement” of food for their bar‑pressing behavior with those that were not, or were presented with food at different rates, it became clear that when food appeared as a consequence of the rat’s actions, this influenced its future behavior.
하버드에서 연구원으로서 일하는 동안에, B. F. 스키너가 쥐에 일련의 실험을 실행했고,
이후에 “스키너 박스”으로서 알려지게 될 발명품을 이용했다.
쥐는 이러한 박스들 중 하나에 놓여졌고 이것의 내부에 특별한 막대가 설치되었다.
그 쥐가 이 막대를 누를 때마다 그 쥐는 음식을 받았다.
막대 누르기의 횟수가 자동적으로 기록됐다.
처음에는 쥐가 우연히 또는 단순히 호기심에서 누를 것이고 결과적으로 약간의 음식을 받게 될 수 있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쥐는 막대가 눌러질 때마다 음식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고 받아먹기 위해 그것을 의도적으로
누르기 시작했다. 막대를 누르는 행위에 대해 음식이라는 “긍정 강화”를 받은 쥐로부터의 결과를 그러지 못했거나,
다른 비율로 음식을 받은 쥐와 비교한 후, 쥐의 행위의 결과로서 음식이 나타날 때,
이것이 쥐의 미래 행위에 영향을 미쳤다.
6 - 1
요약: 조명의 가격이 하락해 우리가 편리한 것처럼, 무언가의 가격이 하락하면 온 세상이 바뀔 수 있다.
When the price of something fundamental drops greatly, the whole world can change. Consider light.
Chances are you are reading this sentence under some kind of artificial light.
Moreover, you probably never thought about whether using artificial light for reading was worth it.
Light is so cheap that you use it without thinking. But in the early 1800s, it would have cost you four hundred times
what you are paying now for the same amount of light.
At that price, you would notice the cost and would think twice before using artificial light to read a book.
The drop in the price of light lit up the world. Not only did it turn night into day,
but it allowed us to live and work in big buildings that natural light could not enter.
Nearly nothing we have today would be possible if the cost of artificial light had not dropped to almost nothing.
기본적인 어떤 것의 가격이 크게 하락할 때, 온 세상이 바뀔 수 있다. 조명을 생각해 보자.
아마 여러분은 어떤 유형의 인공조명 아래에서 이 문장을 읽고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분은 독서를 위해 인공조명을
이용하는 것이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아마 생각해 본 적이 없을 것이다. 조명 값이 너무 싸서 여러분은 생각 없이 그것을 이용한다. 하지만 1800년대 초반에는, 같은 양의 조명에 대해 오늘날 지불하고 있는 것의 400배만큼의 비용이
들었을 것이다. 그 가격이면, 여러분은 비용을 의식할 것이고 책을 읽기 위해 인공조명을 이용하기 전에 다시 한 번 생각할 것이다. 조명 가격의 하락는 세상을 밝혔다. 그것은 밤을 낮으로 바꾸었을 뿐 아니라, 자연광이 들어올 수 없는 큰 건물에서 우리가 살고 일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만약 인공조명의 비용이 거의 공짜 수준으로 하락하지 않았더라면 우리가 오늘날
누리는 것 중에 가능한 것은 거의 없을 것이다.
6 - 2
요약: 동물이 돌봐지며 야생에서 쓰던 인간의 뇌 일부가 사라졌고, 인간 역시 개가 대체한 뇌의 일부분이 줄어들었다.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evolving humans’ relationship with dogs changed the structure of both species’ brains. One of the various physical changes caused by domestication is a reduction in the size of the brain: 16 percent for horses, 34 percent for pigs, and 10 to 30 percent for dogs. This is because once humans started to take care of these animals, they no longer needed various brain functions in order to survive. Animals who were fed and protected by humans did not need many of the skills required by their wild ancestors and lost the parts of the brain related to those capacities. A similar process occurred for humans, who seem to have been domesticated by wolves. About 10,000 years ago, when the role of dogs was firmly established in most human societies, the human brain also shrank by about 10 percent.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진화하는 인간과 개와의 관계는 두 종의 뇌 구조를 변화 시켰습니다.
가축화로 인한 다양한 신체적 변화 중 하나는 뇌의 크기 감소입니다 : 말의 경우 16 %, 돼지의 경우 34 %, 개의 경우 10-30 %입니다. 일단 인간이 이 동물들을 돌보기 시작하면, 그들은 생존하기 위해 더 이상 다양한 뇌 기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먹이를 주고 보호받는 동물들은 야생 조상들이 요구하는 많은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았고 그러한 능력과 관련된 뇌의 부분을 잃어버렸다. 늑대에 의해 길들여진 것으로 보이는 인간에게도 비슷한 과정이 일어났다.
약 1만 년 전, 대부분의 인간 사회에서 개의 역할이 확고하게 자리잡았을 때, 인간의 뇌도 약 10% 줄어들었다.
6 - 3
요약: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협력과 배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Social connections are so essential for our survival and well-being that we not only cooperate with others to build relationships, we also compete with others for friends. And often we do both at the same time. Take gossip.
Through gossip, we bond with our friends, sharing interesting details. But at the same time, we are creating potential enemies in the targets of our gossip. Or consider rival holiday parties where people compete to see who will attend their party. We can even see this tension in social media as people compete for the most friends and followers. At the same time, competitive exclusion can also generate cooperation. High school social clubs and country clubs use this formula to great effect: It is through selective inclusion and exclusion that they produce loyalty and lasting social bonds.
사회적 관계는 우리의 생존과 웰빙을 위해 매우 필수적이라 우리는 관계형성을 위해 다른 사람과 협력할 뿐만 아니라,
친구를 얻기 위해 다른 사람과 경쟁하기도 한다. 그리고 자주 우리는 동시에 둘 다를 한다. 가십을 생각해보자. 가십을 통해 우리는 친구들과 흥미로운 세부사항을 공유하면서 유대를 형성한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가십의 대상들 중에서 잠재적인 적을 만들어낸다. 또는 누가 ‘그들의’ 파티에 참석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경쟁하는 라이벌 관계의 휴일 파티를 생각해 보라. 우리는 심지어 소셜 미디어에서도 사람들이 가장 많은 친구들과 팔로워들을 얻기 위해 경쟁할 때 이러한 긴장감을 볼 수 있다. 동시에 경쟁적 배제는 또한 협력도 만들어낼 수 있다. 고등학교 친목 동아리와 컨트리 클럽은 이러한 공식을 사용하여 큰 효과를 발휘한다. 그들이 충성과 지속적인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것은 선택적인 포함 ‘그리고 배제’를 통해서이다.
6 - 4
요약: 우리가 그것을 명시적으로 인지하면, 문제를 인식하게 된다.
Let’s return to a time in which photographs were not in living color.
During that period, people referred to pictures as “photographs” rather than “black‑and‑white photographs” as we do today. The possibility of color did not exist, so it was unnecessary to insert the adjective “black‑and‑white.” However, suppose we did include the phrase “black‑and‑white” before the existence of color photography. By highlighting that reality, we become conscious of current limitations and thus open our minds to new possibilities and potential opportunities. World War I was given that name only after we were deeply embattled in World War II. Before that horrific period of the 1940s, World War I was simply called “The Great War” or, even worse, “The War to End All Wars.” What if we had called it “World War I” back in 1918? Such a label might have made the possibility of a second worldwide conflict a greater reality for governments and individuals. We become conscious of issues when we explicitly identify them.
사진이 생생한 색으로 되어 있지 않았던 시기로 돌아가 보자. 그 기간 동안, 사람들은 오늘날 우리가 하는(부르는) 것처럼 사진을 “흑백 사진”이라기보다는 “사진”이라고 불렀다. 색의 가능성은 존재하지 않았고, 따라서 “흑백”이라는 형용사를 삽입하는 것은 불필요했다. 하지만, 우리가 컬러 사진의 존재 전에 “흑백”이라는 어구를 포함시켰다고 가정해 보자. 그 현실을 강조함으로써, 우리는 현재의 한계를 의식하게 되고, 따라서 새로운 가능성과 잠재적 기회에 마음을 연다. 제1차 세계대전은 우리가 제2차 세계대전에 깊이 휘말린 후에야 비로소 그 이름이 붙여졌다. 1940년대의 끔찍한 시기 이전에, 제1차 세계대전은 단순히 “대전쟁” 또는, 더 나쁘게는, “모든 전쟁을 끝내는 전쟁”이라고 불렸다. 만약 우리가 1918년으로 돌아가 그것을 “제1차 세계대전”이라고 불렀더라면 어땠을까? 그러한 명칭은 두 번째 세계적 충돌의 가능성을 정부와 개인에게 예측할 수 없는(→더 큰) 현실로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우리가 그것들을 명시적으로 인지했을 때, 우리는 문제들을 의식하게 된다.
7 - 1
Once upon a time, there lived a young king who had a great passion for hunting.
His kingdom was located at the foot of the Himalayas. Once every year, he would go hunting in the nearby forests. He would make all the necessary preparations, and then set out for his hunting trip.
Like all other years, the hunting season had arrived. Preparations began in the palace and the king got ready for his hunting trip. Deep in the forest, he spotted a beautiful wild deer. It was a large stag. His aim was perfect. When he killed the deer with just one shot of his arrow, the king was filled with pride. The proud hunter ordered a hunting drum to be made out of the skin of the deer.
*stag: 수사슴
Seasons changed. A year passed by. And it was time to go hunting once again. The king went to the same forest as the previous year. He used his beautiful deerskin drum to round up animals. But none came. All the animals ran for safety, except one doe. She came closer and closer to the drummer. Suddenly, she started fearlessly licking the deerskin drum.
*round up: ~을 몰다 **doe: 암사슴
The king was surprised by this sight. An old servant had an answer to this strange behavior. “The deerskin used to make this drum belonged to her mate, the deer who we hunted last year. This doe is mourning the death of her mate,”
the man said. Upon hearing this, the king had a change of heart. He had never realized that an animal, too, felt the pain of loss. He made a promise, from that day on, to never again hunt wild animals.
*mourn: 애도하다
옛날 옛적에 사냥에 큰 열정을 가진 젊은 왕이 살았다. 그의 왕국은 히말라야 산기슭에 위치해 있었다.
매년 한 번씩, 그는 근처 숲으로 사냥을 가곤 했다. 그는 필요한 모든 준비를 한 다음 사냥 여행을 떠나곤 했다.
다른 해와 마찬가지로 사냥철이 왔다. 궁전에서 준비가 시작되었고 왕은 그의 사냥 여행을 위한 준비를 했다.
숲속 깊은 곳에서, 그는 아름다운 야생 사슴을 발견했다. 그것은 큰 숫사슴이었다. 그의 목표는 완벽했다.
그가 화살 한 방으로 사슴을 죽였을 때, 왕은 자부심으로 가득 찼습니다. 자랑스러운 사냥꾼은 사슴 가죽으로 사냥용 드럼을 만들라고 명령했다.
계절이 바뀌었다. 1년이 지났다. 그리고 다시 한번 사냥을 하러 갈 시간이었다. 왕은 전년도와 같은 숲으로 갔다.
그는 동물들을 모으기 위해 그의 아름다운 사슴가죽 드럼을 사용했다. 하지만 아무도 오지 않았다.
한 마리를 제외한 모든 동물들은 안전을 위해 달렸다. 암사슴은 드러머에게 점점 더 가까이 다가갔다.
갑자기, 암사슴은 두려움 없이 사슴가죽 드럼을 핥기 시작했다.왕은 이 광경에 놀랐다.
한 늙은 하인이 이 이상한 행동에 대한 답을 가지고 있었다.
"이 드럼통을 만드는데 사용된 사슴 가죽은 작년에 우리가 사냥했던 그녀의 짝인 사슴의 것이었습니다.
이 암사슴은 그녀의 동료의 죽음을 애도하고 있다." 남자는 말했다. 이 말을 들은 왕은 마음이 바뀌었다.
그는 동물 역시 상실의 고통을 느낀다는 것을 결코 깨닫지 못했다.
그는 그날부터 다시는 야생동물을 사냥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7 - 2
James Walker was a renowned wrestler and he made his living through wrestling. In his town, there was a tradition in which the leader of the town chose a day when James demonstrated his skills. The leader announced one day that James would exhibit his skills as a wrestler and asked the people if there was anyone to challenge him for the prize money.
Everyone was looking around in the crowd when an old man stood up and said with a shaking voice, “I will enter the contest against him.” Everyone burst out laughing thinking that it was a joke. James would crush him in a minute. According to the law, the leader could not stop someone who of his own free will entered the competition, so he allowed the old man to challenge the wrestler.
When James saw the old man, he was speechless. Like everyone else, he thought that the old man had a death wish. The old man asked James to come closer since he wanted to say something to him. James moved closer and the old man whispered, “I know it is impossible for me to win but my children are starving at home. Can you lose this competition to me so I can feed them with the prize money?”
James thought he had an excellent opportunity to help a man in distress. He did a couple of moves so that no one would suspect that the competition was fixed. However, he did not use his full strength and allowed the old man to win. The old man was overjoyed when he received the prize money. That night James felt the most victorious he had ever felt.
James Walker는 유명한 레슬링 선수였고 레슬링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그의 마을에는 마을의 지도자가 하루를
정해 James가 자신의 기술을 보여 주는 전통이 있었다. 지도자는 어느 날 James가 레슬링 선수로서 자신의 기술을
보여 줄 것임을 알렸고, 사람들에게 상금을 위해 그(James)에게 도전할 사람이 있는지 물었다.
모두가 군중 속에서 주위를 둘러보던 중 한 노인이 일어나서 떨리는 목소리로 “내가 그(James)와의 경기에 참가하겠소.”
라고 말했다. 모두가 그것이 농담이라고 여기며 웃음을 터뜨렸다. James는 그를 바로 뭉개버릴 것이었다.
관례에 따라 지도자는 본인의 자유 의지로 경기에 참여하려는 사람을 막을 수가 없었기에,
그 노인이 그 레슬링 선수에게 도전하는 것을 허용했다.
James가 그 노인을 봤을 때, 그는 말문이 막혔다. 다른 모든 사람과 마찬가지로 그는 그 노인이 죽기를 바란다고
생각했다. 노인이 James에게 할 말이 있었기 때문에 노인은 James에게 더 가까이 와 줄 것을 청했다.
James가 더 가까이 가자 노인은 “내가 이기는 게 불가능하다는 것은 알고는 있지만 내 아이들이 집에서 굶고 있다네.
내가 상금으로 아이들에게 밥을 먹일 수 있게 나에게 이 시합을 져 줄 수 있소?”라고 속삭였다.
James는 곤경에 처한 사람을 도울 아주 좋은 기회를 얻었다고 생각했다. 그(James)는 아무도 그 시합이 정해졌다고
의심하지 못하도록 몇 가지 동작을 했다. 그러나 그는 전력을 다하지 않았고 그 노인이 이기게 했다.
노인은 상금을 받고 매우 기뻐했다. 그날 밤 James는 그(James)가 이제껏 느껴보지 못한 가장 큰 승리감을 느꼈다.
A merchant in a small town had identical twin sons.
어느 작은 마을의 한 상인에게 일란성 쌍둥이 아들이 있었다.
The boys worked for their father in the store he owned and when he died, they took over the store.
그 아들들은 아버지가 소유했던 가게에서 일했고 아버지가 죽었을 때, 그들은 그 가게를 물려받았다.
Everything went well until the day a twenty-dollar bill disappeared.
20달러 지폐가 사라졌던 날까지는 모든 일이 잘 풀렸다.
One of the brothers had left the bill on the counter and walked outside with a friend.
형제 중 한 명이 카운터에 지폐를 두고 친구와 밖으로 나갔다.
When he returned, the money was gone.
그가 돌아왔을 때, 돈은 사라졌다.
He asked his older brother, "Did you see that twenty-dollar bill on the counter?"
그가 그의 형에게 "카운터에 있던 그 20달러 지폐 봤어?"라고 물었다.
His older brother replied that he had not.
그의 형은 보지 못했다고 대답했다.
But the young man kept questioning him.
그러나 그 동생은 계속 해서 그에게 물었다.
"Twenty-dollar bills just don't get up and walk away! Surely you must have seen it!"
"20달러 지폐가 일어나서 걸어 나갈 수 없잖아! 분명히 형은 그것을 봤을 거야!"
There was subtle accusation in his voice.
그의 목소리에는 미묘한 비난이 담겨있었다.
Anger began to rise.
화가 나기 시작했다.
Hatred set in.
증오가 자리 잡았다.
Before long, bitterness divided the twins.
머지 않아 적대감이 쌍둥이 형제를 갈라놓았다.
They refused to speak.
그들은 말하는 것을 거부했다.
They finally decided they could no longer work together and a dividing wall was built down the center of the store.
그들은 마침내 더 이상 함께 일하지 않기로 결심했고 가게를 나누는 벽이 가게 중앙에 세워졌다.
For twenty years the hostility grew, spreading to their families and the community.
20년 동안 증오심이 자랐고, 그들의 가족과 지역사회에 전해졌다.
Then one day a man from another state stopped by the store.
그러던 어느 날 다른 주의 한 남자가 가게에 들렀다.
He walked in and asked the younger brother, "How long have you been here?"
그가 들어와서 동생에게 "당신은 얼마나 여기에 있었나요?"라고 물었다.
He replied that he'd been there all his life.
그는 평생 그곳에 있었다고 대답했다.
The customer said, "Twenty years ago I came into this town in a boxcar. I hadn't eaten for three days. I came into this store and saw a twenty-dollar bill on the counter. I put it in my pocket and walked out. All these years I haven't been able to forgive myself. So I had to come back to return it."
손님은 "20년 전에 저는 이 마을에 유개화차를 타고 왔어요. 3일 동안 음식을 먹지 못했죠. 저는 이 가게에 들어와 카운터 위의 20달러 지폐 한 장을 봤어요. 저는 그것을 주머니에 넣고 나갔죠. 지금까지 저는 제 자신을 용서할 수 없었어요. 그래서 저는 그것을 돌려주러 돌아와야 했어요."라고 말했다.
The customer was amazed to see tears well up in the eyes of the man.
손님은 그 남자의 눈에 눈물이 샘솟는 것을 보고 놀랐다.
"Would you please go next door and tell that same story to the man in the store?" the younger brother said.
동생은 "당신이 저 문으로 가서 가게에 있는 남자에게 똑같은 이야기를 해줄 수 있나요?"라고 말했다.
Then the customer was even more amazed to see the two middle-aged men hugging each other and weeping together in the front of the store.
그런 다음 손님은 두 중년의 남자가 가게 앞에서 서로 안고 흐느껴 우는 것을 보고 훨씬 더 놀랐다.
After twenty years, the brokenness was repaired.
20년 후에, 단절된 관계가 회복되었다.
The wall of anger that divided them came down.
그들을 갈라놓았던 분노의 벽은 무너졌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조립PC
- 논리
- 특성화고
- 자바스크립트
- 2진수
- 특성고
- js
- 컴시
- 진법
- 스크립트
- Unity
- 16진수
- 컴퓨터시스템
- 2D
- 입문
- javascript
- 고1사회
- 확장자
- 존버
- 화소
- 디지털논리회로
- 보수
- C#
- 8진수
- 사회현상보고서
- 진수
- 게임개발
- 픽셀
- 유니티
- 자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