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1 - 1

 

When two people are involved in an honest and open conversation, there is a back and forth flow of information.

It is a smooth exchange. Since each one is drawing on their past personal experiences, the pace of the exchange is as fast as memory. When one person lies, their responses will come more slowly because the brain needs more time to process the details of a new invention than to recall stored facts. As they say, “Timing is everything.” You will notice the time lag when you are having a conversation with someone who is making things up as they go. Don’t forget that the other person may be reading your body language as well, and if you seem to be disbelieving their story, they will have to pause to process that information, too.

 

 

두 사람이 솔직하고 진솔한 대화에 참여하면 정보가 왔다 갔다 하며 흘러간다. 그것은 순조로운 주고받기이다. 각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과거 경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주고받는 속도가 기억만큼 빠르다. 한 사람이 거짓말하면, 그 사람의 반응이 더 느리게 나올 텐데, 뇌는 저장된 사실을 기억해 내는 데 비해 새로 꾸며 낸 이야기의 세부 사항을 처리하는 데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말하듯 “타이밍이 가장 중요하다.” 말을 하면서 이야기를 꾸며 내고 있는 누군가와 이야기를 하고 있으면, 여러분은 시간의 지연을 알아차릴 것이다. 상대가 여러분의 몸짓 언어 역시 읽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과 만약 여러분이 그 사람의 이야기를 믿지 않고 있는 것처럼 보이면, 그 사람은 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또한 잠시 멈춰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요약 : 솔직한 대화를 하면 물 흐르듯이 내용이 이어지지만, 거짓을 꾸며내면 대화 사이에 공백이 생겨난다.

그렇기에 상대도 나도 마주보고 있는 사람이 거짓말을 하는지 아닌지를 몸짓과 공백으로 알아차릴 수 있다

 

1 - 2

 

Creativity is a step further on from imagination. Imagination can be an entirely private process of internal consciousness. You might be lying motionless on your bed in a fever of imagination and no one would ever know. Private imaginings may have no outcomes in the world at all. Creativity does. Being creative involves doing something. It would be odd to describe as creative someone who never did anything. To call somebody creative suggests they are actively producing something in a deliberate way. People are not creative in the abstract; they are creative in something: in mathematics, in engineering, in writing, in music, in business, in whatever. Creativity involves putting your imagination to work. In a sense, creativity is applied imagination.

 

창의성은 상상력으로부터 한 단계 더 나아간 것이다. 상상력은 내적 의식의 오로지 사적인 과정일 수 있다. 당신은 상상력의 흥분 속에서 당신의 침대 위에서 움직임 없이 누워있을지도 모르고 어느 누구도 그런 사실을 알지 못할 것이다. 사적인 상상력들은 전혀 이 세상에서 어떤 결과도 가지고 있지 않을지도 모른다. 창의성은 그렇다(결과를 가진다). 창의적인 것은 무언가 하는 것을 수반한다. 어떤 것을 절대로 하지 않았던 사람을 창의적이라고 묘사하는 것은 이상할 것이다. 누군가를 창의적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들이 의도적인 방식으로 어떤 것을 적극적으로 만들어 내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사람들은 추상적인 것에서는 창의적이지 않다; 그들은 어떤 것에서 창의적이다: 수학에서, 공학에서, 글쓰기에서, 음악에서, 사업에서, 무엇에서든지. 창의성은 당신의 상상력을 작동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어떤 면에서, 창의성은 적용된 상상력이다.

 

요약 : 상상력은 그저 내적 생각에 그치는 것이지만, 창의성은 그것을 표현함으로써 상상력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것이다.

 

1 - 3

 

Chewing leads to smaller particles for swallowing, and more exposed surface area for digestive enzymes to act on.

In other words, it means the extraction of more fuel and raw materials from a mouthful of food.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mammals because they heat their bodies from within.

Chewing gives mammals the energy (which is) needed to be active not only during the day but also the cool night, and to live in colder climates or places with changing temperatures.

It allows them to sustain higher levels of activity and travel speeds to cover larger distances, avoid predators, capture prey, and make and care for their young.

Mammals are able to live in an incredible variety of habitats, from Arctic tundra to Antarctic pack ice, deep open waters to high-altitude mountaintops, and rainforests to deserts, in no small measure because of their teeth.

 

 

씹기는 삼킴을 위한 더 작은 조각들과 소화 효소가 작용하는 더 노출된 표면으로 이어진다.

다시 말해서, 한입의 음식으로부터 더 많은 연료와 원료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그들이 체내에서 자신의 몸을 따뜻하게 하기 때문에 포유류에게 특히 중요하다.

씹기는 포유류에게 낮은 물론 밤에도 활동하고, 더 추운 기후나 기온이 변하는 장소에서 사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준다.

그것은 그들에게 더 먼 거리를 가고, 천적을 피하고, 먹이를 포획하고 새끼를 낳고 돌볼 수 있게 하는 더 높은 수준의 활동과 이동 속도를 유지하게 한다. 

포유류는 어느 정도는 그들의 이빨로 인해 북극 툰드라부터 남극의 유빙까지, 심해부터 고도가 높은 산꼭대기까지 그리고 열대 우림부터 사막까지 매우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 수 있다.

 

요약 : 포유류의 이빨은 씹기를 통해 더 많은 에너지를 추출하고, 이 덕에 포유류는 다양한 서식지에서 생존할 수 있다.

 

 

1 - 4

 

News reporters are taught to start their stories with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The first sentence, called the lead, contains the most essential elements of the story. A good lead can convey a lot of information. After the lead, information is presented in decreasing order of importance. Journalists call this the “inverted pyramid” structure —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the widest part of the pyramid) is at the top. The inverted pyramid is great for readers. No matter what the reader’s attention span — whether she reads only the lead or the entire story — the inverted pyramid maximizes the information she gets. Think of the alternative: If news stories were written like mysteries with a dramatic payoff at the end, then readers who broke off in mid‑story would miss the point. Imagine waiting until the last sentence of a story to find out who won the presidential election or the Super Bowl.

 

뉴스 리포터들은 그들의 이야기를 가장 중요한 정보로 시작하도록 배운다. 리드라고 불리는, 첫 번째 문장은 이야기의 가장 본질적인 요소들을 담고 있다. 좋은 리드는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리드 후에, 정보는 중요도가 감소하는 순서로 제시된다. 언론인들은 이것을 “역 피라미드” 구조라고 부른다 ― 가장 중요한 정보 (피라미드의 가장 넓은 부분)가 맨 위에 있다. 역 피라미드는 독자들에게 아주 좋다. 독자의 주의 지속 시간이 어떻든 간에―그녀가 리드만 읽든 전체 이야기를 읽든 ― 역 피라미드는 그녀가 얻는 정보를 극대화한다.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라: 만약 뉴스 이야기들이 마지막에 극적인 결말과 함께 미스터리처럼 쓰여진다면, 이야기 중반부에서 중단한 독자들은 요점을 놓칠 것이다. 누가 대통령 선거 혹은 슈퍼볼에서 이겼는지 알아내기 위해 이야기의 마지막 문장까지 기다린다고 상상해 보라.

 

요약: 뉴스 리포터들은 중요한 정보를 가장 먼저 말하면서 그들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를 역 피라미드 구조라고 부르며, 이 덕에 독자들은 얼마나 주의깊게 들었는지에 상관없이 정보를 잘 얻을 수 있다.

 

2 -1 

 

At a publishing house and at a newspaper you learn the following:

It’s not a mistake if it doesn’t end up in print. It’s the same for email.

Nothing bad can happen if you haven’t hit the Send key.

What you’ve written can have misspellings, errors of fact, rude comments, obvious lies,

but it doesn’t matter. If you haven’t sent it, you still have time to fix it

You can correct any mistake and nobody will ever know the difference

This is easier said than done, of course. Send is your computer’s most attractive command.

But before you hit the Send key, make sure that you read your document carefully one last time.

 

출판사와 신문사에서 다음과 같이 알게 된다. ‘결국 인쇄물로 나오지 않으면 그것은 실수가 아니다.’ 그것은 이메일에서도 마찬가지다. 전송 버튼을 눌러 버리기 전까지는 어떤 나쁜 일도 일어날 수 없다. 여러분이 쓴 글에는 잘못 쓴 철자, 사실의 오류, 무례한 말, 명백한 거짓말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것을 전송하지 않았다면, 아직 그것을 고칠 시간이 있다. 어떤 실수라도 수정할 수 있고 누구도 결코 그 변화를 모를 것이다. 물론, 이것은 말은 쉽지만 행동은 어렵다. 전송은 여러분 컴퓨터의 가장 매력적인 명령어이다. 그러나 그 전송 버튼을 누르기 전에, 반드시 문서를 마지막으로 한 번 주의 깊게 읽어 보라.

 

요약: 이메일을 보내기 전에 다시 한번 검토해보자

 

2 - 2

 

Sibling rivalry is natural, especially between strong-willed kids. As parents, one of the dangers is comparing children unfavorably with each other, since they are always looking for a competitive advantage. The issue is not how fast a child can run, but who crosses the finish line first. A boy does not care how tall he is; he is vitally interested in who is tallest. Children systematically measure themselves against their peers on everything from skateboarding ability to who has the most friends. They are especially sensitive to any failure that is talked about openly within their own family. Accordingly, parents who want a little peace at home should guard against comparative comments that routinely favor one child over another. To violate this principle is to set up even greater rivalry between them.

 

형제간의 경쟁은 특히 의지가 강한 아이들 사이에서 자연스러운 것이다. 부모로서, 위험들 중 하나는 아이들을 서로 호의적이지 않게 비교하는 것인데, 왜냐하면 그들은 항상 경쟁 우위를 찾기 때문이다. 문제는 아이가 얼마나 빨리 달릴 수 있느냐가 아니라, 누가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느냐다. 소년은 자신이 얼마나 키가 큰지 신경 쓰지 않는다; 그는 누가 가장 큰지에 매우 관심이 있다. 아이들은 스케이트보드 타는 능력에서부터 누가 가장 많은 친구를 가지고 있는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대해 그들 자신을 그들의 동료들과 비교해서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그들은 가족 내에서 공개적으로 이야기되는 어떠한 실패에도 특히 민감하다. 따라서, 가정에서 작은 평화를 원하는 부모들은 일상적으로 한 아이를 다른 아이보다 편애하는 비교의 발언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 이 원칙을 위반하는 것은 그들 사이에 더 큰 경쟁을 만드는 것이다.

 

요약: 아이들은 공개적으로 가족과 실패를 말하는 것에 민감하기에 자녀를 서로 비교하는 말을 자제하라.

 

2 - 3

 

If you care deeply about something, you may place greater value on your ability to succeed in that area of concern. The internal pressure you place on yourself to achieve or do well socially is normal and useful, but when you doubt your ability to succeed in areas that are important to you, your self-worth suffers. Situations are uniquely stressful for each of us based on whether or not they activate our doubt. It's not the pressure to perform that creates your stress. Rather, it's the self-doubt that bothers you. Doubt causes you to see positive, neutral, and even genuinely negative experiences more negatively and as a reflection of your own shortcomings. When you see situations and your strengths more objectively, you are less likely to have doubt as the source of your distress.

 

무언가에 깊이 관심을 두면, 그 관심 영역에서 성공하기 위한 여러분의 능력에 더 큰 가치를 둘지도 모른다. 성취하거나 사회적으로 성공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가하는 내적인 압박은 정상적이고 유용하지만, 자신에게 중요한 영역에서 성공하기 위한 여러분의 능력을 의심하면, 여러분의 자아 존중감은 상처를 입는다. 상황이 우리의 의심을 활성화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것은 우리 각각에게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준다. 여러분의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것은 결코 수행에 대한 압박이 아니다. 오히려, 여러분을 괴롭히는 것은 바로 자기 의심이다. 의심은 긍정적인 경험, 중립적인 경험, 그리고 심지어 진짜로 부정적인 경험을 더 부정적으로 보게 하고, 여러분 자신의 단점을 반영한 것으로 (그것들을) 보게 한다. 상황과 여러분의 강점을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때, 여러분은 괴로움의 원천인 의심을 덜 가질 것이다.

 

요약: 자기 의심은 스트레스를 일으키고, 객관적인 판단을 흐린다.

 

2 - 4

 

When it comes to the decision to get more exercise, you are setting goals that are similar to running a half marathon with very little training! You make a decision to buy a gym membership and decide to spend an hour at the gym every day. Well, you might stick to that for a day or two, but chances are you won’t be able to continue to meet that commitment in the long term. If, however, you make a commitment to go jogging for a few minutes a day or add a few situps to your daily routine before bed, then you are far more likely to stick to your decision and to create a habit that offers you long-term results. The key is to start small. Small habits lead to long-term success.

 

더 많은 운동을 하려는 결정에 관해 말하자면, 당신은 거의 훈련을 하지 않고 하프 마라톤을 뛰는 것과 비슷한 목표들을 세우고 있다! 당신은 헬스장 회원권을 사기로 결정하고 매일 헬스장에서 한 시간을 보내기로 결정한다. 글쎄, 당신은 하루나 이틀은 그것을 고수할 수도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그 다짐을 계속 이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만약 당신이 하루에 몇 분씩 조깅을 하거나 잠자리에 들기 전에 당신의 일상에 몇 번의 윗몸 일으키기를 더하기로 다짐한다면, 당신은 당신의 결정을 고수하고 당신에게 장기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습관을 만들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핵심은 작게 시작하는 것이다. 작은 습관들은 장기적인 성공으로 이어진다.

 

요약: 작은 습관부터 시작하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을 만든다.

 

3 - 1

 

On my seventh birthday, my mom surprised me with a puppy waiting on a leash. It had beautiful golden fur and an adorable tail. It was exactly what I had always dreamed of. I took the dog everywhere and slept with it every night. A few months later, the dog got out of the backyard and was lost. I sat on my bed and cried for hours while my mother watched me silently from the doorway of my room. I finally fell asleep, exhausted from my grief. My mother never said a word to me about my loss, but I knew she felt the same as I did.

 

나의 일곱 번째 생일에, 목줄을 매고 기다리고 있는 강아지로 엄마는 나를 놀라게 했다. 그것은 아름다운 황금빛 털과 사랑스러운 꼬리를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내가 항상 꿈꿨던 것이었다. 나는 그 강아지를 어디든지 데리고 다녔고 매일 밤 같이 잤다. 몇 달 후, 그 강아지는 뒷마당에서 빠져나가 사라졌다. 엄마가 내 방 문간에서 조용히 나를 바라보는 동안 나는 침대에 앉아 몇 시간 동안 울었다. 나는 슬픔에 지쳐 마침내 잠이 들었다. 엄마는 나의 상실에 대해 나에게 한마디도 하지 않았지만, 나는 엄마도 나와 똑같이 느꼈다는 것을 알았다.

 

감정의 변화: 기쁨 -> 슬픔

 

3 - 2

 

Dave sat up on his surfboard and looked around. He was the last person in the water that afternoon. Suddenly something out toward the horizon caught his eye and his heart froze. It was every surfer’s worst nightmare — the fin of a shark. And it was no more than 20 meters away! He turned his board toward the beach and started kicking his way to the shore. Shivering, he gripped his board tighter and kicked harder. ‘I’m going to be okay,’ he thought to himself. ‘I need to let go of the fear.’ Five minutes of terror that felt like a lifetime passed before he was on dry land again. Dave sat on the beach and caught his breath. His mind was at ease. He was safe. He let out a contented sigh as the sun started setting behind the waves.

 

Dave는 그의 서핑보드 위에 앉아 주변을 둘러보았다. 그는 그날 오후 물에 있는 마지막 사람이었다. 갑자기 수평선 위로 무언가가 그의 눈을 사로잡았고 그의 심장은 얼어붙었다. 그것은 모든 서퍼들의 최악의 악몽이었다 ― 상어의 지느러미. 그리고 그것은 단지 20미터 떨어져 있었다! 그는 그의 보드를 해변 쪽으로 돌렸고 해안가 쪽으로 발차기를 시작했다. 떨면서, 그는 그의 보드를 더 단단히 붙잡고 더 강하게 발차기를 했다. ‘나는 괜찮을 거야,’ 그는 마음속으로 생각했다. ‘나는 공포를 떨쳐낼 필요가 있어.’ 그가 육지에 다시 도착하기 전에 한평생처럼 느껴졌던 공포의 5분이 지나갔다. Dave는 해변에 앉아 숨을 내쉬었다. 그의 마음은 이제 편안해졌다. 그는 안전했다. 그는 태양이 파도 뒤로 지기 시작할 때 만족스러운 한숨을 내쉬었다.

 

감정의 변화: 공포 -> 안도감

 

3 - 3

 

It was a day I was due to give a presentation at work, not something I’d do often. As I stood up to begin, I froze. A chilly ‘pins­and­needles’ feeling crept over me, starting in my hands. Time seemed to stand still as I struggled to start speaking, and I felt a pressure around my throat, as though my voice was trapped and couldn’t come out. Gazing around at the blur of faces, I realized they were all waiting for me to begin, but by now I knew I couldn’t continue.

 

내가 직장에서 발표를 하기로 한 날이었고 내가 자주 하곤 했던 것이 아니었다. 시작하려고 일어섰을 때 나는 얼어붙었다. ‘핀과 바늘로 찌르는 듯한’ 차가운 느낌이 손에서 시작해서 나를 엄습했다. 내가 말하기 시작하려고 애쓸 때 시간이 정지해 있는 것 같았고 나는 목 부근에서 압박감을 느꼈는데 마치 내 목소리가 갇혀서 빠져나올 수 없는 것 같았다. 흐릿한 형체의 얼굴들을 둘러보며 나는 그들이 모두 내가 시작하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그때쯤 나는 내가 계속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감정: 공황 (panicked)

 

3 - 4 

 

As he stepped onto the basketball court, David suddenly thought of the day he had gotten injured last season and froze. He was not sure if he could play as well as before the injury. A serious wrist injury had caused him to miss the rest of the season. Remembering the surgery, he said to himself, “I thought my basketball career was completely over.” However, upon hearing his fans’ wild cheers, he felt his body coming alive and thought, “For sure, my fans, friends, and family are looking forward to watching me play today.” As soon as the game started, he was filled with energy. The first five shots he attempted went in the basket. “I’m back! I got this,” he shouted.

 

농구 코트에 발을 디디며 데이비드는 문득 지난 시즌 부상을 당했던 날을 떠올리며 얼어붙었다. 그는 부상 이전만큼 잘 뛸 수 있을지 확신하지 못했다. 심각한 손목 부상은 그가 시즌의 나머지를 놓치는 원인이 되었다. 수술을 떠올리며 그는 "내 농구 경력은 완전히 끝난 줄 알았다"고 혼잣말을 했다. 하지만, 팬들의 열광적인 환호를 듣고, 그는 자신의 몸이 살아나는 것을 느꼈고, "분명히, 내 팬들, 친구들, 그리고 가족들은 오늘 내가 경기하는 것을 보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경기가 시작되자마자, 그는 에너지가 넘쳤다. 그가 시도한 첫 5개의 슛은 골대에 들어갔다. "나 돌아왔어! 내가 해냈다!"라고 그가 소리쳤다.

감정 변화 - 불안감 -> 자신감
 
4 - 1: 안내문 문제라 스킵함. 
 
4 - 2

Born in 1895, Carol Ryrie Brink was orphaned by age 8 and raised by her grandmother. Her grandmother’s life and storytelling abilities inspired her writing. She married Raymond Woodard Brink, a young mathematics professor she had met in Moscow, Idaho many years before. After their son and daughter were born, early in her career, she started to write children’s stories and edited a yearly collection of short stories. She and her husband spent several years living in France, and her first novel Anything Can Happen on the River was published in 1934. After that, she wrote more than thirty fiction and nonfiction books for children and adults. She received the Newbery Award in 1936 for Caddie Woodlawn.

 

1895년에 태어난 Carol Ryrie Brink는 8살 때 고아가 되었고 할머니에 의해 길러졌다. 그녀의 할머니의 삶과 스토리텔링 능력은 그녀의 글쓰기에 영감을 주었다. 그녀는 수년 전 Idaho주 Moscow에서 만났던 젊은 수학 교수인 Raymond Woodard Brink와 결혼했다. 그들의 아들과 딸이 태어난 후, 그녀의 경력 초기에, 그녀는 어린이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고, 연간 단편 소설집을 편집했다. 그녀와 그녀의 남편은 프랑스에서 수년간 살았고, 그녀의 첫 번째 소설인 Anything Can Happen on the River 가 1934년에 출판되었다. 그 후, 그녀는 어린이들과 어른들을 위해 30권 이상의 소설과 논픽션 책을 썼다. 그녀는 Caddie Woodlawn으로 1936년에 Newbery 상을 받았다.

 

4 - 3: 그래프 분석 문제

 

4 - 4

Ingrid Bergman was born in Stockholm, Sweden on August 29, 1915. Her mother was German and her father Swedish. Her mother died when she was three, and her father passed away when she was 12. Eventually she was brought up by her Uncle Otto and Aunt Hulda. She was interested in acting from an early age. When she was 17, she attended the Royal Dramatic Theater School in Stockholm. She made her debut on the stage but was more interested in working in films. In the early 1940s, she gained star status in Hollywood, playing many roles as the heroine of the film. Bergman was considered to have tremendous acting talent, an angelic natural beauty and the willingness to work hard to get the best out of films. She was fluent in five languages and appeared in a range of films, plays and TV productions.

 

잉그리드 버그만은 1915년 8월 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독일인, 아버지는 스웨덴인이다. 그녀의 어머니는 그녀가 세 살 때 돌아가셨고,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열두 살 때 돌아가셨다. 결국 그녀는 오토 삼촌과 훌다 숙모에게 양육되었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연기에 관심이 많았다. 그녀가 17살이었을 때, 그녀는 스톡홀름에 있는 왕립 연극 학교에 다녔다. 그녀는 무대에 데뷔했지만 영화 작업에 더 관심이 있었다. 1940년대 초, 그녀는 영화의 여주인공으로 많은 역할을 하면서 할리우드에서 스타 지위를 얻었다. 버그먼은 엄청난 연기 재능과 천사의 자연미, 그리고 영화에서 최고의 것을 얻기 위해 열심히 일하려는 의지를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 그녀는 5개 국어에 능통했고 다양한 영화, 연극, TV 프로덕션에 출연했다.

 

5 - 1

Get past the ‘I wish I hadn’t done that!’ reaction. If the disappointment you’re feeling is linked to an exam you didn’t pass because you didn’t study for it, or a job you didn’t get because you said silly things at the interview, or a person you didn’t impress because you took entirely the wrong approach, accept that it’s happened now. The only value of ‘I wish I hadn’t done that!’ is that you’ll know better what to do next time. The learning pay­off is useful and significant. This ‘if only I ...’ agenda is virtual. Once you have worked that out, it’s time to translate it from the past tense to the future tense: ‘Next time I’m in this situation, I’m going to try to ...’.

*agenda: 의제 **tense: 시제

‘내가 그것을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라는 반응을 넘어서라. 만일 여러분이 느끼는 실망이 시험공부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통과하지 못한 시험, 면접에서 바보 같은 말을 해서 얻지 못한 일자리, 또는 완전히 잘못된 접근 방법을 택하는 바람에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한 사람과 연관되어 있다면, 이제는 그 일이 ‘일어나 버렸다’는 것을 받아들여라. ‘내가 그것을 하지 말았어야 했는데!’의 유일한 가치는 다음에 무엇을 할지 더 잘 알게 되리라는 점이다. 배움으로 얻게 되는 이득은 유용하고 의미가 있다. 이러한 ‘내가 …하기만 했다면’이라는 의제는 가상의 것이다. 여러분이 그것을 파악했다면, 이제 그것을 과거 시제에서 미래 시제로 바꿀 때이다: ‘다음에 내가 이 상황일 때 나는 …하려고 할 것이다.’

 

요약: 내가 과거에 한 부정적인 일에 얽매이지 말고, 그것을 극복하고 미래에 반복하지 않도록 하라.

 

밑줄의 의미: 후회를 극복하고 계획을 세워라

 

5 - 2

 

With the Internet, everything changed. Product problems, overpromises, the lack of customer support, differential pricing ― all of the issues that customers actually experienced from a marketing organization suddenly popped out of the box. No longer were there any controlled communications or even business systems. Consumers could generally learn through the Web whatever they wanted to know about a company, its products, its competitors, its distribution systems, and, most of all, its truthfulness when talking about its products and services. Just as important, the Internet opened up a forum for customers to compare products, experiences, and values with other customers easily and quickly. Now the customer had a way to talk back to the marketer and to do so through public forums instantly.

 

인터넷의 등장으로 모든 것이 변했다. 제품 문제, 과잉 약속, 고객 지원 부족, 가격 차등과 같은 소비자들이 마케팅 조직으로부터 실제로 경험했던 모든 문제가 갑자기 상자 밖으로 튀어나왔다. 통제된 의사소통이나 사업 체계조차 더는 존재하지 않았다. 소비자들은 한 회사와 그곳의 제품, 경쟁사, 유통 체계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회사의 제품과 서비스에 관해 이야기할 때의 진정성에 대해 그들이 알고 싶어 하는 것은 무엇이든 인터넷을 통해 보통 알 수 있었다. 그만큼이나 중요하게도, 인터넷은 소비자들이 제품, 경험 그리고 가치를 다른 소비자들과 쉽고 빠르게 비교할 수 있는 장(場)을 열었다. 이제 소비자는 마케터에게 대응하고 즉시 공론의 장을 통해 그렇게 하는 수단을 가졌다.

 

요약: 인터넷의 등장으로 소비자들은 정보와 상품의 관한 모든 내용을 한번에 알 수 있게 되었다. 

 

밑줄의 의미: 갑자기 튀어나왔다 = 더 이상 숨길 수 없었다

 

5 - 3

 

Author Elizabeth Gilbert tells the fable of a great saint who would lead his followers in meditation. Just as the followers were dropping into their zen moment, they would be disrupted by a cat that would walk through the temple meowing and bothering everyone. The saint came up with a simple solution: He began to tie the cat to a pole during meditation sessions. This solution quickly developed into a ritual: Tie the cat to the pole first, meditate second. When the cat eventually died of natural causes, a religious crisis followed. What were the followers supposed to do? How could they possibly meditate without tying the cat to the pole? This story illustrates what I call invisible rules. These are habits and behaviors that have unnecessarily rigidified into rules. Although written rules can be resistant to change, invisible ones are more stubborn. They’re the silent killers.

* zen: (불교) 선(禪) ** rigidify: 굳게 하다

 

작가 Elizabeth Gilbert는 명상을 할 때 그의 신도들을 이끌었던 위대한 성자의 우화에 대해 이야기한다. 신도들이 그들의 선의 순간에 막 빠질 때, 야옹 하고 울고 모든 사람들을 귀찮게 하며 사원을 돌아다니는 고양이에 의해 그들은 방해를 받곤 했다. 성자는 간단한 해결책을 생각해 냈다: 그는 명상 시간 동안 고양이를 기둥에 묶기 시작했다. 이 해결책은 빠르게 하나의 의식으로 발전했다: 먼저 고양이를 기둥에 묶고, 그 다음에 명상을 하라. 고양이가 결국 자연사했을 때, 종교적 위기가 뒤따랐다. 신도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 것인가? 어떻게 고양이를 기둥에 묶지 않고 그들이 명상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이야기는 내가 보이지 않는 규칙이라고 부르는 것을 보여 준다. 이것들은 불필요하게 규칙으로 굳어진 습관과 행동들이다. 비록 쓰여진 규칙들은 변화에 저항할 수 있지만, 보이지 않는 규칙들은 더 완고하다. 그들은 침묵의 살인자들이다.

 

요약: 불필요한 행동들이 규칙과 습관이 되어 우리를 옭아매고 있다.

 

밑줄의 의미: 그들은 침묵의 살인자들이다 = 무의식적으로 행동을 배제하는 숨겨진 규칙들

 

5 - 4 

 

The known fact of contingencies, without knowing precisely what those contingencies will be, shows that disaster preparation is not the same thing as disaster rehearsal. No matter how many mock disasters are staged according to prior plans, the real disaster will never mirror any one of them. Disaster­-preparation planning is more like training for a marathon than training for a high­jump competition or a sprinting event. Marathon runners do not practice by running the full course of twenty-­six miles; rather, they get into shape by running shorter distances and building up their endurance with cross­-training. If they have prepared successfully, then they are in optimal condition to run the marathon over its predetermined course and length, assuming a range of weather conditions, predicted or not. This is normal marathon preparation.

* contingency: 만일의 사태 * endurance: 인내(력), 참을성 * predetermined: 이미 결정된, 미리 정해 놓은

* assume: (사실일 것으로) 추정하다

 

만일의 사태의 알려진 사실이, 정확하게 그러한 만일의 사태들이 어떻게 될지를 몰라서, 재난 대비가 재해 리허설과

똑같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얼마나 많은 모의 재난이 이전의 계획에 따라 실행된다 하더라도,

실제 재난은 그것들(모의 재난들)의 어떤 것도 반영하지 않을 것이다. 재난 대비 계획이 높이뛰기 대회나

단거리 경기에 대비한 훈련이라기 보다는 마라톤 훈련과 좀 더 가깝다.마라톤 선수들은 26마일 풀코스를 뛰며

연습하지 않는다; 오히려, 더 짧은 거리를 뛰고 크로스트레이닝으로 지구력을 키움으로써 몸을 만들어 간다.

만약 그들이 성공적으로 준비했다면, 그러면 그들은 이미 정해진 코스와 길이를 뛸 수 있는 최적의 상태에 있다 /

다양한 날씨 상태를 예상하면서 / (날씨 상태가) 예측이 되든 안 되든지 간에.

이것이 보통의 마라톤 대비이다.

 

요약: 재난 대응은 재난에 완벽히 대응하려는 것이 아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 

 

의미 - 실제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개발하는 것

 

6 - 1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providing good care is making sure that an animal’s needs are

being met consistently and predictably. Like humans, animals need a sense of control.

So an animal who may get enough food but doesn’t know when the food will appear and

can see no consistent schedule may experience distress. We can provide a sense of control by

ensuring that our animal’s environment is ______: there is always water available and

always in the same place. There is always food when we get up in the morning and after our evening walk.

There will always be a time and place to eliminate, without having to hold things in to the point of discomfort.

Human companions can display consistent emotional support, rather than providing love one moment and

withholding love the next. When animals know what to expect, they can feel more confident and calm.

 

좋은 보살핌을 제공하는 것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에 한 가지는 반드시 동물의 욕구가 일관되게 그리고 예측 가능하게

충족되도록 하는 것이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은 통제감이 있다는 느낌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충분한 음식을 제공받고 있을지라도 음식이 언제 (눈에) 보일지 모르고 일관된 일정을 알 수 없는 동물은

괴로움을 겪을지도 모른다. 우리 동물의 환경이 예측 가능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우리는 통제가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즉, 마실 수 있는 물이 늘 있고, 물이 늘 같은 곳에 있다.

아침에 일어날 때 그리고 저녁 산책을 한 후에 늘 음식이 있다.

불편할 정도로 참을 필요 없이 변을 배설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가 늘 있을 것이다.

사람 친구는 한순간에는 애정을 주다가 그다음에는 애정을 주지 않기보다는 일관된 정서적 지지를 보이는 것이 좋다.

기대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을 때, 동물은 자신감과 차분함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다.

 

요약: 동물에게는 통제감이 있다는 느낌이 필요하기에, 예측 가능하도록 항상 그 자리에 두자.

 

빈칸 - 글의 내용은 동물의 욕구를 예측 가능하도록 충족시켜주라는 것, 우리가 그것을 제공해야 하기에

정답은 predictable (예측 가능한)

 

6 - 2

 

When a child is upset, the easiest and quickest way to calm them down is to give them food. This acts as a distraction from the feelings they are having, gives them something to do with their hands and mouth and shifts their attention from whatever was upsetting them. If the food chosen is also seen as a treat such as sweets or a biscuit, then the child will feel ‘treated’ and happier. In the shorter term using food like this is effective. But in the longer term it can be harmful as we quickly learn that food is a good way to ____. Then as we go through life, whenever we feel annoyed,

anxious or even just bored, we turn to food to make ourselves feel better.

 

아이가 화를 낼 때, 아이를 진정시키는 가장 쉽고 가장 빠른 방법은 음식을 주는 것이다. 이것은 아이가 가지고 있는 감정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는 것으로 작용하고, 손과 입으로 할 수 있는 무언가를 아이에게 제공하며, 화나게 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으로부터 아이의 주의를 옮겨 가게 한다. 또한 선택된 음식이 사탕이나 비스킷 같은 특별한 먹거리로 여겨지면, 그 아이는 ‘특별한 대접을 받았다고’ 느끼고 기분이 더 좋을 것이다. 이처럼 음식을 이용하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효과적이다. 하지만 음식이 감정을 통제하는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우리가 곧 알게 되기 때문에 그것은 장기적으로는 해로울 수 있다. 그리고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짜증이 나거나, 불안하거나, 심지어 그저 지루함을 느낄 때마다, 우리 자신의 기분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 우리는 음식에 의존한다.

 

요약: 감정을 회피시키기 위해 어렸을 때부터 간식을 주면, 아이는 커서도 똑같이 자신에게 그것을 이용해 의존한다.

 

빈칸 - 아이가 가진 감정으로부터 주의를 돌리기 위해 간식을 주면, 아이는 이를 감정을 통제하는 방법이란 걸 깨닫고

커서도 부정적인 감정이나, 심지어 지루하면 음식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빈칸에는 manage emotions 가 들어간다.

 

6 - 3

 

As much as we can learn by examining fossil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y seldom ____ .

Things only fossilize under certain sets of conditions. Modern insect communities are highly

diverse in tropical forests, but the recent fossil record captures little of that diversity.

Many creatures are consumed entirely or decompose rapidly when they die, so there may be no fossil record

at all for important groups. It's a bit similar to a family photo album. Maybe when you were born

your parents took lots of pictures, but over the years they took photographs occasionally,

and sometimes they got busy and forgot to take pictures at all. Very few of us have a complete photo record of our life. Fossils are just like that. Sometimes you get very clear pictures of the past,

while at other times there are big gaps, and you need to notice what they are.

 

우리가 화석을 조사하며 알 수 있는 것만큼이나 그것들이 좀처럼 완전한 이야기를 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물들은 일련의 특정 조건하에서만 화석화된다.

현대 곤충 군집들은 열대 우림 지역에서 매우 다양하지만, 최근 화석 기록은 그 다양성을 거의 담아내지 않는다.

많은 생명체는 죽을 때 완전히 먹히거나 급속히 부패해서, 중요한 집단에 관한 화석 기록이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것은 가족 사진첩과도 약간 비슷하다.

아마도 여러분이 태어났을 때 여러분의 부모님은 사진을 많이 찍었겠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그들은

가끔 사진을 찍었고, 때로는 바빠져서 사진 찍는 것을 아예 잊어버렸을지도 모른다.

우리 중 우리 인생의 완전한 사진 기록을 가진 사람은 거의 없다. 화석이 바로 그것과 같다.

때때로 여러분은 과거에 대한 매우 명확한 그림을 가지지만 다른 때에는 큰 공백들이 존재하고,

여러분은 그것들이 무엇인지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요약: 우리의 모든 인생이 사진으로 남지 않듯, 화석 역시 끊긴 부분이 있으니 알아내야 한다.

 

빈칸 - 본문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우리의 사진마냥 중간에 화석도 끊기는 부분이 있다는 것,

따라서 전체 이야기를 말해주지 않는다 - tell the entire story가 정답

 

 

6 - 4

 

While leaders often face enormous pressures to make decisions quickly,

premature decisions are the leading cause of decision failure. This is primarily because leaders respond to

the superficial issue of a decision rather than taking the time to explore the underlying issues.

Bob Carlson is a good example of a leader _____ in the face of diverse issues.

In the economic downturn of early 2001, Reell Precision Manufacturing faced a 30 percent drop in revenues.

Some members of the senior leadership team favored layoffs and some favored salary reductions.

While it would have been easy to push for a decision or call for a vote in order to ease the tension of

the economic pressures, as co-CEO, Bob Carlson helped the team work together and examine all of the issues.

The team finally agreed on salary reductions, knowing that, to the best of their ability,

they had thoroughly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both possible decisions.

* revenue: 총수입 ** implication: 영향

 

리더들이 종종 빠르게 결정들을 내려야 하는 거대한 압박에 직면하지만, 섣부른 결정들은 결정 실패의 주된 원인이다. 

이것은 주로 리더들이 근원적인 문제들을 탐색하는 데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결정의 피상적인 문제에 반응하기 때문이다. Bob Carlson은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했을 때 인내심을 발휘하는 리더의 좋은 예이다.

2001년 초의 경기 침체기에, Reell Precision Manufacturing은 총수입에서 30퍼센트 하락에 직면했다. 

몇몇의 고위 지도자 팀의 구성원들은 해고를 선호했고 몇몇은 임금 삭감을 선호했다. 

경제적 압박의 긴장 상태를 완화하기 위해서 결정을 밀어붙이거나 투표를 요청하는 것이 쉬웠을 테지만, 

공동 최고 경영자로서, Bob Carlson은 그 팀이 함께 노력하고 모든 문제들을 검토하도록 도왔다. 

그 팀은 마침내, 그들의 능력의 최선에서, 그들이 두 가지 가능한 결정 모두의 영향을 철저하게 검토했다는 것을 알면서,

임금 삭감에 동의했다.

 

요약: 거대한 압박에서 성급한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인내심을 발휘하고 문제를 천천히 살펴보자.

 

빈칸 - 작중의 Bob Carlson은 임금 삭감과 해고를 빠르게 하지 않고, 인내심을 가지고 팀원들을 이해시킴.

따라서 빈칸에는 exercising patience 가 들어간다.

 

 

7 - 1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being legally allowed to do something, and actually being able to go and do it. A law could be passed allowing everyone, if they so wish, to run a mile in two minutes. That would not, however, increase their effective freedom, because, although allowed to do so, they are physically incapable of it. Having a minimum of restrictions and a maximum of possibilities is fine. But in the real world most people will never have the opportunity either to become all that they are allowed to become, or to need to be restrained from doing everything that is possible for them to do. Their effective freedom depends on actually ________________________. 

 

어떤 일을 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허용되는 것과 실제로 그것을 해 버릴 수 있는 것을 구별하는 것은 중요하다. 원한다면, 모든 사람이 2분 안에 1마일을 달릴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이 통과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것이 허용되더라도, 물리적으로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이 그들의 ‘실질적’ 자유를 증가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최소한의 제약과 최대한의 가능성을 두는 것은 괜찮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자신이 되도록 허용된 모든 것이 될 가능성이 없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는 것을 저지당해야 할 가능성도 없을 것이다. 그들의 실질적 자유는 사실 그들이 선택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수단과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

 

요약: 자유라는 것은 내가 할 수 있는 능력에 달린 것이다

 

빈칸 - 실제적으로 할 수 없는 일이 허가되더라도, 우리가 그것을 하지 못하기에 자유가 늘어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문장은 having the means and ability to do what they choose

 

7 - 2

 

Back in 1996, an American airline was faced with an interesting problem.

At a time when most other airlines were losing money or going under, over 100 cities were

begging the company to service their locations. However, that’s not the interesting part.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 company turned down over 95 percent of those offers and began

serving only four new locations.It turned down tremendous growth ___________.

Sure, its executives wanted to grow each year, but they didn’t want to grow too much.

Unlike other famous companies, they wanted to set their own pace, one that could be sustained in the long term.

By doing this, they established a safety margin for growth that helped them continue to thrive at a time when the other airlines were flailing.

 

1996년 한 미국 항공사가 흥미로운 문제에 직면했다.

대부분의 다른 항공사들이 손해를 보거나 파산하던 시기에, 100개가 넘는 도시가 그 회사에 그들의

지역에 취항할 것을 부탁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것이 흥미로운 부분은 아니다.

흥미로운 것은 회사는 그 제안 중 95퍼센트 넘게 거절했고 네 개의 새로운 지역만 취항을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것은 엄청난 성장을 거절했는데 회사 수뇌부가 성장의 상한치를 설정했기 때문이다.

물론, 그 경영진들은 매년 성장하기를 원했지만, 너무 많이 성장하는 것을 원하지는 않았다.

다른 유명한 회사들과는 달리, 그들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것, 즉 자신만의 속도를 정하기를 원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다른 항공사들이 마구 흔들리던 시기에 그들이 계속 번창하는 데 도움이 됐던 성장의

안전 여유를 설정했다.

 

요약: 과도하게 성장하는 대신 안전 여유를 확보함으로써 그들의 발전에 도움을 주었다.

 

빈칸: 회사의 경영진들은 성장의 한계를 정해 안전하게 가는 것을 택하였기에,

because company leadership had set an upper limit for growth이 빈칸에 들어간다.

 

7 - 3

 

We’re often told that newborns and infants are comforted by rocking because this motion is similar to what they experienced in the womb, and that they must take comfort in this familiar feeling. This may be true; however, to date there are no convincing data that demonstrat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time a mother moves during pregnancy and her newborn’s response to rocking. Just as likely is the idea that newborns come to associate gentle rocking with being fed. Parents understand that rocking quiets a newborn, and they very often provide gentle, repetitive movement during feeding. Since the appearance of food is a primary reinforcer,

newborns may _______ because they have been conditioned through a process of associative learning.

 

우리는 종종 신생아와 유아가 흔들림에 편안함을 느끼는데 이는 그 움직임이 그들이 자궁에서 경험하는 것과

비슷하기 때문이며 그들이 이러한 친숙한 느낌에서 반드시 편안할 것이라는 말을 듣곤 한다.

이것은 사실일 수도 있지만, 지금까지 엄마가 임신 기간 동아나 움직이는 시간의 양과 그 신생아의 흔들림에 대한

반응 사이의 상당한 관계를 증명하는 확실한 정보는 없다. 신생아가 젖을 먹는 것을 부드러운 흔들림과 연관시키게

된다는 생각도 가능성이 있다. 부모는 흔들림이 신생아를 진정시킨다는 것을 이해하고는 젖을 먹이는 동안

럽고 반복적인 움직임을 아주 자주 해준다. 음식의 등장이 주된 강화제이기 때문에,

신생아는 연관 학습의 과정을 통해 조건화되어왔기 때문에 ____________________할지 모른다.

 

요약: 흔들림에 연관된 부모의 행동 (밥) 이 아기가 흔들림에 안정되는 동기가 되어 준다.

즉 강화 학습을 통해 아이들은 흔들림과 좋은 것을 같이 연상하게 되어 안정된다.

 

빈칸 - acquire a fondness for motion = 운동을 좋아하게 되다

 

7 - 4

 

Early in the term, our art professor projected an image of a monk, his back to the viewer, standing on the shore, looking off into a blue sea and an enormous sky. The professor asked the class, “What do you see?” The darkened auditorium was silent. We looked and looked and thought and thought as hard as possible to unearth the hidden meaning, but came up with nothing — we must have missed it. With dramatic exasperation she answered her own question, “It’s a painting of a monk! His back is to us! He is standing near the shore! There’s a blue sea and enormous sky!” Hmm... why didn’t we see it? So as not to bias us, she’d posed the question without revealing the artist or title of the work. In fact, it was Caspar David Friedrich’s The Monk by the Sea. To better understand your world, _________________________

rather than guess at what you think you are supposed to see.

* exasperation: 격분

 

학기 초, 우리 미술 교수는, 보는 이를 등지고, 바닷가에 서서, 푸른 바다와 거대한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수도승의 이미지를 투영했다. 교수는 반 학생들에게 물었다, “무엇이 보이나요?” 어두컴컴한 강당은 조용했다. 우리는 그 숨겨진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가능한 한 열심히 보고 보고 생각하고 생각했지만, 아무것도 생각해내지 못했다 ― 우리는 그것을 놓쳤음에 틀림없다. 극도로 분노하며 그녀는 자신의 질문에 대답했다, “그것은 수도승의 그림이에요! 그의 등은 우리에게 향하고 있어요! 그는 해안 근처에 서 있어요! 푸른 바다와 거대한 하늘이 있어요!” 음... 왜 우리는 그것을 보지 못했을까? 우리에게 편견을 주지 않기 위해, 그녀는 그 작품의 작가나 제목을 밝히지 않고 질문을 제시했다. 사실, 그것은 Caspar David Friedrich의 The Monk by the Sea 였다. 여러분의 세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분이 생각하기에 여러분이 봐야 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을 추측하기보다는 여러분이 실제로 보는 것을 의식적으로 인정하라.

 

요약: 숨은 내용이 있을 것이라 짐작하기보다 눈 앞에 보이는 것 그대로 인정하라

 

빈칸 - consciously acknowledge what you actually see = 당신이 실제로 본 것을 의식적으로 인정하라.

 

 

 

728x90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2학기 중간고사 교과서 지문 - 7  (0) 2022.10.03
영어 2학기 중간고사 교과서 지문  (0) 2022.10.03
한국사  (0) 2022.10.02
고1 통합과학 3단원 정리  (0) 2022.09.05
역사  (0) 2022.06.30
댓글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